스페셜
"고교"(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시월 노벨상 수상 시즌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발표로 시작된다. 그런데 고교 교과과정은 물론 대학 학과를 봐도 물리학상 화학상과 어울리는 건 ‘생물학상’이 아닐까. 알프레드 노벨이 ‘실사구시(實事求是)’형이어서 생물학은 인류의 삶에 도움을 주기에는 너무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생각한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외, 7판, 2009년)을 뒤적거려봤는데 얼룩나방 이야기를 찾을 수 없었다. 한 세기 전에 중고교 교과서를 장식하며 다윈의 자연선택을 상징했던 사례가 어떻게 이런 논쟁에 휘말렸는지 궁금해졌다. 그리고 이번 유전자 규명이 케틀웰의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시큼한 분노의 포도? 케틀웰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2015.12.30
- 월 23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1928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블루필드에서 태어난 내쉬는 고교시절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카네기공대(현 카네기멜론대) 화학공학과에 입학했다. 그러나 적성이 맞지 않아 화학과로 옮겼고 다시 수학과로 바꿨다. 대학원 진학을 위해 지도교수에게 ... ...
- 산업부, 영덕군 발전을 위한 10대 사업 제안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계획이다. 외국어, 과학, 예술 등의 특화교육도 지원한다. 기존 유지되던 지역의 초•중•고교는 장학금 지원 등을 통해 지역 명문으로 육성하고 운동부에 대해서도 시설, 장비, 전지훈련 등을 후원한다. 영덕 출신의 인재가 타지에서 유학하는 경우에도 재경 장학관과 같은 제도를 통해 지원할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위키피디아 제공 2015년은 파지가 발견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많은 사람들에게 파지는 중고교 생물 시간에 잠깐 들어본 게 전부일 것이다. 그리고 과학계에서도 파지는 분자생물학 초창기에 반짝 인기를 끌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파지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구 생태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있다. ●세균과 고세균, 진핵생물 생명체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라고 하면 중고교 생물 수업을 받은(기억하는) 경우 열에 아홉은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이라고 답할 것이다. 세포 안에 핵이 있느냐 없느냐는 중요한 분류기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둘 사이의 차이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본 것보다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2편]동아사이언스 l2015.01.23
- 창업에 필요한 요소와 자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미니강연을 통해 들어본 뒤, 중고교생이 벤처 창업에 성공한 사례와 벤처에 필요한 후츠파(Chutzpah) 정신의 의미, 벤처사업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 등 다양한 질문과 답변들을 학생들과 함께 나눠본다. ◆ MC: 최정문┃서울대 산업공학과 ...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2014.09.29
- 발행하는 학술지 ‘트라이볼로지 온라인’에 실린 논문으로 5쪽 분량에 내용도 쉬워 고교 물리 시간에 다루면 딱 좋을 내용이었다. 트라이볼로지(Tribology)는 마찰과 마모, 윤활에 관련된 현상을 다루는 학문분야다. ●마찰계수 6분의 1로 줄어 연구자들은 바나나 껍질이 얼마나 미끄러운지 알아보기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버나드 우드 교수가 쓴 논평이다. 요즘 학생들은 어떻게 배우는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중고교를 다니던 한 세대 전만해도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순서대로 호모속(屬) 인류의 진화를 배웠다. 두개골 화석을 바탕으로 만든 호모 하빌리스 상상도. ...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1.13
- 혀양쪽, 쓴맛은 혀뒤, 짠맛은 혀가장자리에서 느껴짐을 묘사한 혀지도는 필자가 중고교 시절 생물교과서에도 소개됐다. 보링은 책에서 다비드 해니그라는 독일 과학자가 1901년 발표한 논문을 소개하면서 직접 혀지도까지 만든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오역이 있었다. 즉 원 논문은 혀의 ... ...
이전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