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손
대파괴
붕괴
파괴
폐허
파손 상태
크게 설치기
뉴스
"
황폐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오만함을 어찌 모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너무 단순하다. 어느 정도의 지식을 지닌 사람들은 이미 인류가 무척 오만하며 지구를
황폐
화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다. 퀴리 부부의 수상 소감도 라듐을 발견한 동시에 라듐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고 1차 세계대전과 전쟁을 겪으면서 인류의 오만함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나왔을 것이다. 제 ... ...
[채널A]유발 유전자 20여 개 발견…치매 예측 뇌지도 만든다
채널A
l
2013.11.15
[앵커멘트] 치매는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삶까지 송두리째
황폐
하게 만드는 무서운 병입니다. 치매는 조기 발견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정부가 한국인의 치매 뇌 지도를 만들어 조기 진단에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70대 노인 2명의 뇌를 양전자 단층 ... ...
채식하는 피라니아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아마존 열대우림은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독특한 자연유산이지만 아마존은 산림
황폐
화와 댐 건설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생물은 다음과 같다. 화염무늬도마뱀 - Tiffany M Doan 제공 ○ 화염무늬도마뱀 Cercosaura hypnoides 콜롬비아 ... ...
[국감 2013] 北산림 벌거숭이 따로 없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북한의 산림면적 감소는 30.9%로 남한 2.3%에 비해 13배 이상 ”이라며 “북한 산림의
황폐
화와 홍수로 인한 남한의 피해 방지를 위해서라도 남북산림협력이 신속히 재개돼야 한다”고 말했다 ... ...
새에 미친 고등학생의 아름다운 자연 소나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또 저자는 환경 보호를 고려하지 않은 난개발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새들의 생존환경이
황폐
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입시에 한참 빠져 있을 시기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 대견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새와 관련한 ... ...
1분에 3단어씩 쓴 물리학 거장의 자서전
동아사이언스
l
2013.09.15
갈치의 사냥 장면을 소개하면서 갈치의 습성과 기타 정보를 함께 소개한다. 갈수록
황폐
해져 가는 바다 생태계에 대한 해양학자의 안타까운 시선도 책 속에 녹아있다. ‘물고기 박사’답게 각 달에 어울리는 제철 물고기 요리법을 소개한 부분은 ‘미식가’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해 보인다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관점이 오히려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는 출발이 아닐까. 여우가 사라지고 토끼가 들끓어
황폐
해진 숲을 회복시키겠다고 토끼사냥에 나서느니 여우를 들여와 알아서 생태계 균형을 맞춰가게 하는 게 고생을 덜 하는 고수의 전략으로 보인다 ... ...
[대전/충남]“대전 엑스포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 짓겠다”
동아일보
l
2013.06.10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이후 20여 년간 중앙정부의 무관심과 운영 미숙 등으로 사실상
황폐
화됐다. 최근 대전시가 엑스포 재창조 사업의 일환으로 롯데테마파크 유치 등을 추진해 왔다. ○ 대전시 “지역발전 극대화가 수용 여부 관건” 대전시는 일단 미래부의 이 같은 제안이 현 정부의 핵심 과제인 ... ...
[사설]선행학습 금지법, 수월성 교육까지 막지는 말아야
동아일보
l
2013.05.01
면으로만 재단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사교육을 부추기고 가계 부담을 늘리며 공교육을
황폐
화시키는 부정적 측면도 있지만 우수한 학생에게 지적(知的) 자극을 주고 수월성(秀越性) 교육에 도움을 준다. 무엇보다 교과과정을 앞서 공부한다고 해서 벌을 주는 제도는 지구상에서 한국 말고는 없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공유지가 있다. 목동들은 저마다 양을 데려와 풀을 뜯긴다. 과잉 방목을 하면 초지가 곧
황폐
해진다는 걸 알지만 절제를 하면 나만 손해다. 어쨌든 공짜니까. 결국 초지는 황무지가 된다. 1968년 미국의 생물학자 가렛 하딘이 ‘사이언스’에 실은 논문 ‘공유재의 비극(The tragedy of commons)’은 그 뒤 ... ...
이전
6
7
8
9
1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