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빛
혈색
살색
뉴스
"
피부색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의 잣대로 인간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14.03.23
대한 배경지식도 필요 없다. ‘회의 시간에 왜 팔짱을 끼는가?’, ‘왜 사람은
피부색
이 다를까’와 같이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사소한 질문부터 ‘나는 왜 고통을 느끼는가’, ‘진짜 내 모습은 무엇일까’ 와 같이 심오하고 근본적인 질문까지 다양하게 담았다. 사람들이 모인 장소라면 ... ...
사라지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14.03.06
등에 관여하는 케라틴 유전자 일부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왔다는 사실을 밝혔다. 털과
피부색
은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현생인류가 추운 고위도에 적응하게 한 일등 공신인데, 그 비밀은 네안데르탈인이었다. 또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 중 일부가 점차 사라지는 현상도 ... ...
아토피연고 오래 쓰면 毒… 짧게 소량만 바르세요
동아일보
l
2014.02.10
피부층이 손상돼 굵은 주름이 생길 수 있다. 김범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
피부색
이 칙칙해지고 잔주름이 많아져 더 나이 들어 보일 수 있다”며 “이는 외모에 관심이 많은 10, 20대 환자들에겐 심한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말했다. ○ 아토피는 완치 가능한 피부병 중증 아토피 증상은 이처럼 ... ...
칠면조가 만든(?) 바이오센서
과학동아
l
2014.01.26
변화 원리를 응용해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고 밝혔다. 칠면조의
피부색
이 변하는 이유는 피부 조직 속에 들어 있는 콜라겐 때문. 콜라겐은 200~400nm 두께의 단백질 섬유들이 층층이 쌓인 구조인데, 칠면조가 흥분해 혈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면 콜라겐 섬유의 두께도 변하고 이 ... ...
'작심삼일' 다이어트...마음부터 다스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나폴리타노 박사팀은 8명의 비만 여성에게 1주일에 1회 15분씩, 4주 동안 사용자와 비슷한
피부색
과 체형을 가진 아바타의 운동 영상을 보여 줬다. 조지워싱턴대 공중보건과 보건서비스 대학의 멜리사 나폴리타노 교수가 제작한 아바타 다이어트 영상이다. - Temple University Sbarro Institute for Cancer ... ...
똑똑한 흑인은
피부색
이 밝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함께 얼굴을 기억한 참가자들은
피부색
이 더 짙은 사진을 골랐던 것. 벤지브 교수는 “
피부색
이 검은 흑인일수록 위험하다는 선입견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며 "선입견이 기억 과정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않을까. 물론 그렇다. 드물지만 자연계에는 눈이 파란 다양한 동물이 존재한다. 적어도
피부색
이나 털색의 관점에서는 사람은 정말 평범한 동물이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사람뿐 아니라 많은 동물에서 파란 눈을 지닌 개체가 발견된다. 홍채 기질에 멜라닌 색소가 없는 경우다. 왼쪽부터 ... ...
점인 줄 알았는데 암?… 내 손발은 괜찮나
동아일보
l
2014.01.03
쉬운 흑색종 환자가 최근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색종은 우리 몸의
피부색
을 결정하는 멜라닌 세포가 악성 암세포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피부암의 일종이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통계에 따르면 2007년 1894명이었던 전국의 흑색종 환자는 4년 만인 2011년 2576명으로 증가했다. ... ...
피부색
관계없이 인간은 하나의 혈통!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유럽과 아시아 경계에 위치한 작은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역에서 발견된 두개골이 표지를 장식했다. 2005년 발견된 상단 머리뼈(D4500)와 이보다 5년 먼저 발견된 아래턱뼈(D2600)를 합쳐 놓은 이 두개골은 약 177만 년 전 이 지역에 살았던 고대 인류 ... ...
오락가락 기후변화 대응, 이번이 마지막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특히 많은 시간을 야외에서 일하거나 야외 활동,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점점
피부색
이 동남아인처럼 변해갔다. 한국인의 특징인 근면과 성실, 거기다 우리나라를 빠른 시간 내에 선진국 대열에 오르게 한 ‘빨리빨리’ 습관은 사회문제화 됐다. 아열대 기후로 변한 걸 모르고 대낮부터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