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계
총액
뉴스
"
총량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 없는 북극 여름' 2050년 이전 현실화 예측
연합뉴스
l
2020.04.22
줄어드는 일이 발생할 것으로 에측했다. 기후변화 학계에서는 북극해 얼음 파편의
총량
이 100㎢ 이하로 줄어드는 것을 해빙의 기준으로 삼고있다. 역대 두 번째로 낮았던 지난해의 얼음에서 75%가 더 줄어들면 '얼음 없는' 기준을 넘어서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예상대로 기후변화 억제 노력을 하지 ... ...
[4·15총선 과학정책]정치색만큼 색 다른 각당 과기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전면에 내세웠다. 주 52시간제가 R&D 분야에 정착하기 어려운 만큼 이를 연간 근로시간
총량
제로 바꾸겠다는 계획이다. 탈원전과 태양광 정책에 대해서는 이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대신 차세대 원전인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민중당은 국가 R&D 예산을 지방으로 ... ...
[4·15총선 과학정책]정의당 "과기부총리 부활" 내세우며 과기공약 쏟아내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전면에 내세웠다. 주 52시간제가 R&D 분야에 정착하기 어려운 만큼 이를 연간 근로시간
총량
제로 바꾸겠다는 계획이다. 탈원전과 태양광 정책에 대해서는 이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대신 차세대 원전인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신종전염병 대응에는 질병관리본부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새우나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다. 연구팀은 먹이의 크기는 아주 작지만, 섭취하는 먹이의
총량
은 작은 고래들에 비해 훨씬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 몸집이 거대한 비결이다. 대왕고래도 역시 몸집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거대 고래들은 사냥 실력보다는 얼마나 많은 양의 바닷물을 빨리 ... ...
초미세먼지 수치 정확할까…측정기 정확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의 입자만 분리하는 입경분립장치와 분리된 초미세먼지
총량
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입경분립장치가 초미세먼지만 걸러내야 센서가 정확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다. 초미세먼지 측정기가 정부의 형식승인을 얻기 위해서는 입경분리장치의 분리 효율이 2. ... ...
日도쿄전력, '오염수 방류' 전방위 홍보…전문가들 해석도 엇갈려 대응 '이상신호'
2019.10.04
말했다.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 역시 "일본 후쿠시마 저장수 내 삼중수소
총량
3g을 여러 해에 걸쳐 내보낸다면 연간 1g을 배출하는 한국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많은 양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일본은 오염수를 방류하면 방사성 물질이 드넓은 태평양 바닷물에 흩어져 안전한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심사결과 "원전 안전성 이상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않고, 대상기관은 1~2년 주기로 정기검사를 실시해 관리가 가능하다”며 “
총량
기준도 국제원자력기구(IAEA) 규제해제 기준에는 없다”며 규제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원자력시설 부지 평가기준에 쓰이는 ‘활성단층’ 용어를 ‘활동성단층’으로 바꾸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 ...
[일문일답]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 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될 건지 또는 시급성에 따라서 내년도 예산안이 집중적으로 더 많은 것을 넣을 건지 하는
총량
측면에서 정부의 의지로 봐주면 좋겠다. 다만, 내년에 R&D 전체 예산 규모가 확정되면 배분 문제가 될 것 같다. 오늘 발표내용이 보면 소재·부품·장비 관련해서 대한민국이 이것도 하나의 산업 ... ...
산림황폐 없고 온난화까지 해결···'강한' 3세대 바이오매스에너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원료로 제시된 옥수수나 사탕수수는 식량 문제와 결부되어 있거나 이산화탄소
총량
을 오히려 증가시킨다는 평가를 받았다. 2세대 바이오매스 원료인 목질계 나무는 성장이 느리고 산림 황폐화의 문제가 존재한다. 대전 유성 KAIST 캠퍼스 내 위치한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 사무실에서 만난 장 ... ...
인공강수로 고농도 미세먼지 못 씻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뿌릴 만한 구름이 생기기 힘들다는 뜻이다. 연구팀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액체 물의
총량
(액체수경로)과 얼음알갱이의
총량
(빙정수경로)를 측정한 자료를 분석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날의 액체수경로와 빙정수경로는 깨끗한 날에 비해 각각 10분의 1, 3분의 1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