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력
정력
힘
활력
생명력
체능
느낌
뉴스
"
체력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월드컵 국가대표팀, 어떤 포메이션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18.06.14
포메이션이 꼬이면서 패스 경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각 선수들의
체력
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구역을 나누는 방법은 뭘까? 바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FC 바르셀로나의 포메이션을 이용해 그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실선은 델로네 삼각형의 일부다. - GIB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점치는 웨어러블 로봇은 배터리를 달고 움직이며 몇 시간 정도만 소방대원이나 군인의
체력
소모를 줄여주는 정도다. 전력 문제만 해결된다면 아이언맨 정도는 아니더라도 영화 ‘엣지오브 투모로우’에 등장했던 군사용 웨어러블 로봇 정도는 빠르게 현실에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톰크루즈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손을 놓았는데 훗날 “나는 과학 연구와 강의, 순수문학 그리고 ‘롤리타’를 더 이상
체력
적으로 병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고 회상했다. 그의 대표작 ‘롤리타’는 1955년 파리에서 먼저 나왔고 1958년 뉴욕에서 출판돼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상당한 인세가 들어왔다. 경제적 여유가 생긴 ... ...
물리학으로 본 정현의 '테니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18.03.13
. 정현이 세운 기록의 비결을 과학자가 분석했다. “조코비치보다 젊기 때문에
체력
에서 유리했다.” 1월 말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2018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정현은 16강전에서 세계 랭킹 1위 노바크 조코비치를 꺾으며 한국 선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 8강 진출 기록을 세웠다. 그는 ... ...
마침내 철권이 스마트폰에!...오락실 고수 마음 잡을까?
2018.03.05
서서히 회복됩니다. 자연 회복을 기다리다가는 속 터져서 구입 충동을 느끼는 상점의
체력
회복 물약들 – 화면캡처 제공 모바일용 대전격투게임의 새 장르를 제시 요컨대 모바일 철권은 기존 격투게임의 손맛 대신 캐릭터 수집과 스토리 RPG 등의 요소를 가미한 철권의 또 하나의 새로운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④]가장 현실적인 인간형 로봇기술… ‘리얼스틸’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않을 거라는 시각도 있다. 스포츠란 사람이 뼈를 깎는 노력을 거쳐 갈고닦은 기술과
체력
, 정신력을 겨룬다. 그런데 로봇이 이를 대신한다면 그런 스포츠는 금방 식상해질 뿐, 과연 인간들이 거기 공감하고 환호하는 것이 가능하겠냐는 지적이다. 그런데 이미 현실에서도 로봇을 이용한 ... ...
우리 아이 뼈 건강은 구기종목이 책임진다!
2018.02.18
모습만큼 튼튼하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기초
체력
도 길러주고 근력 및 뼈 건강도 좋게 하는 데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네, 결국 뭐니뭐니 해도 운동이 최고입니다. GIB 제공 최근 덴마크 남부대학교 연구진은 아이들 근력 향상과 뼈 건강에 서킷 트레이닝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
과학동아
l
2018.02.16
특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체질”이라고 말했다. 스켈레톤 대표팀 선수들이
체력
훈련을 하는 모습. 유전자 분석 결과 윤성빈 선수(가운데 검은 옷)는 훈련하기에 따라 속근과 지근을 특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체질로 나타났다. - 한국스포츠개발원 제공 근육량 균형 맞추고 최적의 ... ...
[아는만큼 보인다] 썰매 종목 첫 금메달 안긴 스켈레톤 뒤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6
2015년부터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대표팀 선수의 유전자 특성을 분석해 선수별 맞춤형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짰다. 특히 근육의 특성을 결정하는 ACTN3라는 유전자를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순발력 운동에 유리한 속근과 지구력 운동에 유리한 지근 구성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스켈레톤은 경기 시작 ... ...
[아는만큼 보인다]동계올림픽의 꽃 '피겨 스케이팅'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키가 너무 크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가슴 위쪽에 위치해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체력
도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피겨에 맞는 체형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다. 빙상계는 피겨 선수의 이상적인 키로 여자는 165㎝ 이하, 남자는 170㎝ 안팎을 꼽는다. 김연아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