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별
식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구분
분류
분별
뉴스
"
차별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피나는 노력, 과연 정답일까?
2024.10.26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통제감'을 선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가장 심하게
차별
받는 사람들이 가장 노력 만능주의를 믿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그 결과 실제로 더 노력하게 되고 성공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남들보다 배로 노력한 사람들의 경우 정신적으로나 ... ...
노후교량 교체 최적화 '프리스트레싱 하로형 교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차이점을 설명한 그래픽. 건기연 제공 PSRC 하로교는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싱 방식과
차별
화된 구조다. 프리스트레싱을 콘크리트가 아닌 강재 거더에 직접 도입했다. 프리스트레싱은 긴장재를 활용해 구조체에 압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처짐과 부재에 생기는 저항력(응력)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이번 ... ...
인공지능 위험 평가하는 'AI안전연구소' 11월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분석한다. 고도로 발전된 AI의 통제력 상실에 대응하는 '정렬기술(Alignment)', 사회적
차별
및 편향 완화‧제거 기술 등 AI안전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AI안전연구소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소속된 신규 연구소 조직으로 설치한다. AI안전 정책 및 대외협력실·AI안전 평가실·AI안전 연구실 ... ...
의료영상까지 휩쓴 AI…국내 솔루션에 해외 이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IT) 콘텐츠가 발전한 한국 기업들이 개발한 AI 솔루션은 검사 결과지의 가독성에서도
차별
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다. 코어라인의 경우 검진 결과지에 3차원(3D) 폐 그래픽과 함께 결절이 생긴 부위를 직접 표시한다. 결절의 위치와 크기 정보도 자세히 제공해 환자가 자신의 몸에 생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예타 폐지 후 ‘맞춤형 심사제도’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맞춤형 심사제도는 예타와 달리 사업 유형 및 특성을 반영해
차별
화된 심사방법과 절차, 항목을 적용해 실시하며 전문가 중심 검토가 진행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와 국토교통부는 그동안 서울의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안심구역에서만 제공했던 고정밀 항공사진,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정밀하게 제어해 부품 성능을 극한 환경 용도에 최적화하여 재단할 수 있다는 점도
차별
점이다. 연구팀이 만든 합금은 영하 196℃의 극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성능을 보였다. 우주탐사와 극한환경에 쓰일 수 있는 잠재력 높은 신소재로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주탐사 로켓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생, 의사 수급 위해 '동원'된 인력 아니다
2024.10.10
인력이 절대 아니다. 정부가 의대생의 학비를 지원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대학생과
차별
화된 특혜를 제공하는 것도 아니다. 물론 의대 학생이 정부의 의사 수급 정책에 성실하게 협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할 수는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의대생이 무조건 정부 정책을 따라야 ... ...
R&D 예타 대체 새 심사제도 입법예고…내달 18일까지 의견수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개정이 추진되는 심사제도는 구축형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사업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차별
화된 검토 절차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사업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심사를 통해 계획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번 개정안은 의견수렴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친 후 법제처 심사, ... ...
10월 과학기술인상에 박문정…고분자 합성·제어 분야 개척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배관이 없는 구조다. 이론적으로 이 구조를 나노 구조체로 구현하면 다른 나노 구조체와
차별
화된 광학적·기계적 특성을 가질 것으로 추측됐다. 문제는 모양이 특이하고 복잡해 구조를 실제로 구현하기 어렵다는 점이었다. 올해 1월 박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머리카락의 수만 분의 1 크기의 나노 ... ...
3대 대형 연구사업 동시 진행 GIST…젊은 연구자 '파격적 처우'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정부 예산을 받아 진행 중인 건립 공사는 2025년 3월 완공 예정이다. 대학원생들에겐
차별
화된 해외 커리어를 제공할 방침이다. 대학원생 해외 공동연구 지원(GIST-IREF)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주요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수행을 지원한다. 임 총장에 따르면 현재 미국메사추세츠공대(MIT),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