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방
우유
밀크
가슴
쇠젖
소젖
앞가슴
뉴스
"
젖
"(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것이다. 매일 아침 얼굴에 바르는 로션이나 크림도 유화 상태다. 현미경으로 보면
젖
과 비슷한 모습이라는 말이다. 단지 기름의 비율이 더 높아 기름방울이 더 크고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료들이 이것저것 들어가다 보니 더 걸쭉할 뿐이다. 사실 우유뿐 아니라 많은 식품이 유화 상태로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사람 입맛에 맞는
젖
으로 말입니다. 우리의 입맛에 맞게끔 우유의 맛을 바꾸기 위해
젖
소의 유전자도 변화시킨 것입니다. 한때,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고 농경 문화가 발달하면서 인류가 더 이상 진화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유전학과 인류학 연구를 통해 새롭게 드러난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어미의 도움으로 산도를 모두 빠져 나온 새끼는 어미의 얼굴을 보면서 품에 안겨
젖
을 빱니다. 과학동아 제공 ● 혼자는 어려워’ 인류의 출산 그러나 인간의 출산은 다른 영장류의 출산과 ‘180°’ 다릅니다. 자궁이 수축해 뒤에서는 계속 밀고 있지만, 앞의 산도는 좁기 때문에 태아는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1.16
한 줄에 우리 6채씩 10층 아파트가 한 동이다. 우리에는 생쥐 5마리가 함께 산다.
젖
을 떼자마자 암수로 나뉘어 평생을 함께 지낸다. 옆방에는 생쥐보다 몸집이 큰 집쥐가 사는 아파트도 있다. 아파트 내외부 시설을 하나씩 뜯어보면 ‘럭셔리’ 자체다. 우리마다 미세먼지를 99.9%까지 걸러내는 ... ...
젖
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50주년이 되는 해다. 따라서 본문의 상당 부분이 이 영역을 다루고 있다. ‘침묵의 봄’의
젖
가슴 버전인 셈이다. 윌리엄스는 책에서 “카슨은 50년 전보다 지금 우리 식품과 개인 삶에 화합물이 더 많이 침투해있다는 사실에 분명 실망할 것이다. 하지만 이 화합물들이 어떻게 몸에서 일어나는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는 오리너구리의 게놈에서 발견됐다.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 비버와 생김새가 닮았고
젖
을 분비한다. 하지만 조류인 오리처럼 알을 낳고 발에는 물갈퀴도 달렸다. 오리너구리의 게놈에서는 이런 조류와 포유류의 형질이 모두 나타났다. 독일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의 뼈 화석에서 DNA를 ... ...
남성성, 1억8000만 년 전에 생겼다
과학동아
l
2014.04.27
염색체 일부를 보유하고 있었다. 어미 체체파리는 애벌레에게 ‘
젖
’을 먹이는데, 이
젖
속에는 피를 빨아서는 공급받을 수 없는 영양분이 있기 때문에 공생 박테리아의 도움이 절실하다. 결국 둘이 함께 진화한 결과로 염색체 섞임이 나타난 것이다. 연구진은 체체파리의 시각 체계가 집파리나 ... ...
약물 중독은 뇌질환이다
과학동아
l
2014.04.20
강조하며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가령 에드워드 제너는 ‘천연두에 걸린 소의
젖
을 짜는 여자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속설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천연두 백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 밖에도 저자는 인류 역사를 이끈 획기적인 발견을 해부학, 질병 유발 인자, 인간 게놈 ... ...
이한웅 교수 “실험용 생쥐는 119보다 더 많은 사람 구합니다”
동아일보
l
2014.03.17
온도와 습도, 조명이 유지됐다. 몇몇 우리에선 엄지손톱만 한 새끼 쥐들이 대리모 흰쥐의
젖
을 빨며 자라고 있었다. 직원들이 매일 사료와 톱밥을 갈며 의학 산업의 발판이 될 생명들을 돌봤다. 이 교수는 “우리끼린 ‘나중에 지옥에 가면 쥐한테 실험을 당할 것’이란 농담을 하기도 한다”며 ... ...
[기자의 눈]
젖
달라고 우는 출연硏, 방치하는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낯선 상황인데도 이미 경험한 듯 익숙함을 느끼는 현상을 ‘데자뷰(기시감)’라고 한다. 요즘 국내 과학기술계 돌아가는 모습을 보노라면 예전에 있었던 상황이 그대로 반복되는 듯한 데자뷰를 자주 느끼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장 선임 문제다. 한국과학기술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