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신착란
뉴스
"
정신분열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바일 게임으로 조현병 환자 인지기능 개선
2015.08.03
‘왕립사회회보(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Royal Society B)’ 2일자에 게재했다. 흔히
정신분열
증으로 불리는 조현병은 환각과 망상 증상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최근에는 이런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치료제를 쓰고 있지만 아직까지 조현병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 ...
“유전자 끼리 소통 과하면 우울증 걸리기 쉬워”
2015.06.28
뜻이다. 또 연구팀은 유전자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유전자군이 우울증, 조울증,
정신분열
증의 세 가지 질환에서 각각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슷해 보이는 세 가지 질환이 서로 다른 과정을 통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처음 밝혀낸 것이다. 이 교수는 “정신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필요한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그린 고흐의 그림(붓터치만 봐도 광기가 느껴진다)은 최고의 예술작품으로 꼽히는 반면
정신분열
증을 앓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내쉬는 교단에서 쫓겨나고 노벨상도 병에서 회복한 뒤에야 수여된 이유다. 그러고 보면 위대한 예술가보다 위대한 과학자들이 더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천재와 정신병은 종이 한 장 차이?
2015.06.12
이후 두 차례 검사에서 모두 자폐 증상을 보일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정신분열
증으로 불리는 조현병과 예술가적 창의성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로버트 파워 영국 런던 킹스칼리지 정신의학연구소 박사팀은 조현병과 조울증 발병 위험을 2~3배 높이는 유전자 변이가 ... ...
망상과 이상 행동 부르는 조현병 조기 진단 가능성 찾아
2015.05.17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변화가 뇌의 정보중심에 영향을 미쳐 뇌의 정보처리 기능을
정신분열
병과 비슷한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존스 교수는 “조현병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신경연결망을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앞으로 이들 가운데 실제 조현병이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 더 빨리 늙는다
2015.05.10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과거
정신분열
증이나 조울증이 노화를 빠르게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는 PTSD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PTSD는 정신적 충격이 큰 사건을 경험한 후 일상생활에서도 그 기억이 계속 떠올라 고통을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항간에는 글루텐이 우유 단백질인 카세인과 함께 자폐증이나
정신분열
증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험 결과, 글루텐과 카세인을 뺀 식단으로 생활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과학적인 근거도 발견되지 않아 결국 인정받지 못한 주장입니다. pixabay ... ...
정신분열
증에도 ‘사랑 호르몬’이 藥
2015.03.04
국내에서 100명 중 2.64명이 안고 태어나는 자폐증 또한 옥시토신과 관련된 장애다.
정신분열
증으로 불리는 조현병 역시 뇌 속 옥시토신의 분비량이 부족하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에모리대 여키스국립영장류연구센터 미라 모디 박사팀은 자폐증이나 조현병을 고치기 위해 뇌에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질병은 그저 질병이며, 치료해야 할 그 무엇일 뿐이다. - 수전 손택 ‘뉴욕 지성계의 여왕’으로 불리며 미국 최고의 문필가로 이름을 날린 수전 손택(Susan Sontag)은 글을 쓰는 직업을 꿈꾸는 많은 여성들의 롤모델일 것이다. 손택은 에세이, 소설,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는데 특히 에세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인간 뇌의 커넥톰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커넥톰이 완성되면 자폐증이나 조현병(
정신분열
)처럼 뇌 구조로는 원인을 알 수 없었던 뇌 질환의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승 교수는 아이와이어에 이어 차기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그는 “후각신경이 기억으로 바뀌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