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임수
허풍
허위
난센스
가짜
거짓말
허튼 소리
뉴스
"
엉터리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앞에 언급한 구석기시대 식단도 출처가 어디인지 몰라도
엉터리
다. 1만 년 전 농사가 시작되면서 인류의 식단이 곡물(주로 벼과식물의 열매)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된 건 사실이지만 그 전에도 식물 식재료가 칼로리의 최소한 절반은 차지했을 거라는 게 인류학자들의 ... ...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인이 지구에 온다면 어떻게 올까?
2016.05.27
다시 알려졌습니다. 흥미롭게 들렸지만, 과학자들은 그 근거를 찾지 못했고 결국
엉터리
이론으로 끝났습니다. 화성인(?)이 최첨단 우주선 대신, 화성 표면에 있는 이러한 암석을 타고 지구로 날아오는 게 가능할까요? - Pixabay 제공 ※필자소개 이종림. IT전문지 마이크로소프트웨어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표정근육이 작동해 피드백을 해줘야 우리는 상대의 감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좀
엉터리
같은데...’ 체화된 인지 이론을 처음 접하면 이런 생각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뜻밖에도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들이 많다. 예를 들어 한 그룹은 펜을 입술로 고정하게 하고(약간 화난 표정이 된다) 다른 ... ...
당신이 하루 마시는 수돗물 양은?
동아일보
l
2015.11.19
입을 모은다. ○ 수돗물 불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①정수장 수돗물은 깨끗해도 배관이
엉터리
다?=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배관이다. 정수장에서 생산된 깨끗한 수돗물도 긴 배관을 타고 오면서 각종 불순물이 섞여 수질이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다. 수돗물 만족도 조사에서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 ... ...
앨리스의 특이한 곱셈
수학동아
l
2015.11.03
일요일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달력은 12진법, 시계는 60진법을 쓴다. 그렇다면 앨리스의
엉터리
곱셈이 제대로 된 답이 되려면 몇 진법을 써야 할까? 특정진법 하나만 떠올리면 절대 답을 구할 수 없다. 곱셈마다 다른 진법을 사용해야 한다. 4×5=12 20은 18진법으로 12 4×6=13 24는 21진법으로 13 4×7=14 2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없는 데 있는 걸로 나온 오류로 밝혀졌다. 한마디로 MMR백신과 자폐증 연관 주장은
엉터리
란 말이다. ‘랜싯’은 2004년 웨이크필드 박사팀의 1998년 논문에서 일부내용을 철회했고 2010년에는 논문 자체를 철회했다. 랜싯 사이트에 가면 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각 페이지마다 빨간색의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이유, 민물고기가 바닷물에서 살아남은 이유 등등. 설명이랍시고 달아 놓았지만,
엉터리
입니다. 성경 속 이야기를 무리하게 실제 사건으로 만들려다보니 모순에 빠져 버린 거지요. 그냥 신화로 보고 그게 상징하는 바나 교훈 이야기만 하면 괜찮았을텐데요. 영화도 그냥 영화로 보고 말이죠. ※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평가를 하게 하면 레드와인에 대한 전형적인 평이 나온다. 이 결과만 보면 와인 감별이
엉터리
인가 싶지만 와인의 색이 안 보이는 용기에 담아 시음을 하면 화이트 와인으로 제대로 평가한다. 즉 시각 정보가 풍미의 한 요소로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말이다. 3_똑 같은 딸기 셔벗 디저트도 어떤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농도가 두 배가 됐다는 데이터가 수록됐다. 그런데 이번 논문에 따르면 이 데이터도
엉터리
라는 것. 즉 이리신에 결합하는 항체를 통해 이리신의 존재를 추측하는 방법을 쓴 건데, 문제는 이 항체가 이리신뿐 아니라 다른 많은 단백질과도 결합을 한다는 것. 게다가 항체를 제조한 회사가 만든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스미스소이언 천체물리센터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팀(바이셉2 실험)의 발표가
엉터리
라는 주장을 처음 제기한 프린스턴대의 천체물리학자 데이비드 스퍼겔 교수가 ‘화제가 된 10명’에 선정된 것. 스퍼겔 교수는 발표가 있고 열흘쯤 지났을 때 관측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