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뉴스
"
실험실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납을 금으로 바꾼 물리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1
충돌 시 발생하는 물리 현상을 탐구하는 거대 과학 실험 장치다. '세상에서 가장 큰
실험실
'로 불리는 LHC는 지하 100m 아래 둘레가 27km에 달하는 충돌기다. 입자 간 충돌을 일으키려면 매우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에너지를 얻기 위한 긴 가속 경로가 필요하다. 17세기부터 과학자들은 ... ...
코로나19·사스 비교해보니…팬데믹은 '야생동물 거래'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중국이 만든 생물학적 무기라는 소문이 퍼졌다. 과학자들은
실험실
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나 자연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도심에서 야생동물을 팔면 팬데믹 발생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며 “야생 포유류에서 박쥐와 ... ...
[新푸드테크]③ 유정란과 선풍기로 집에서도 만드는 배양육
과학동아
l
2025.05.06
것은 어렵다고 말합니다. 그가 짚은 가장 큰 문제가 오염입니다. 오염에 맞서, 배양육
실험실
은 마치 반도체 공장의 클린룸처럼 운영됩니다. 하지만 집에서 이같은 멸균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시키는 것은 쉽지 않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진미트 프로젝트가 2014년에 시작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하학적 갈등'이 낳은 장미꽃잎의 아름다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5.04
연구팀은 얇은 고무판을 다양한 패턴으로 자라나게 만들어 장미꽃잎과 유사한 곡선을
실험실
에서 재현했다. 실험 결과 꽃잎의 형태는 단순한 생물학적 신호나 유전적 지시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힘과 수학적인 제약이 작용한 결과라는 점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는 식물의 ... ...
살아있는 사람 뇌 조각 채취해 치매 발병 과정 살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01
연구는 외과의사와 환자, 과학자들이 협력해 살아있는 사람에서 뇌 샘플을 수집하고
실험실
에서 뇌 조직이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든 획기적인 연구”라며 “쥐와 같은 동물에 의존하지 않고 인간의 뇌 세포를 이용해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기회를 ... ...
정부,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제시했다. 전주기
실험실
창업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창업유망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
실험실
을 지원한다. 연구자와 경영인의 협력창업 모델을 확대하며 딥테크 연구소기업을 2030년까지 500개 육성한다. 비전 발표 이후 이어진 '기술사업화 전략대화'에서는 정부와 연구계・산업계 전문가가 함께 ... ...
"언제 돌아올지 몰라 출국 자제해요"…美 한인 과학자의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8
어셈블로이드는 실제 인간의 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세포 간 신호 전달과 회로 형성을
실험실
내에서 직접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오가노이드·어셈블로이드 기술은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동물실험의 단계적 폐기 권고를 내리면서 제시한 대안 중 하나이기도 하다. 김 연구원팀은 ... ...
美, 동물실험 폐지 수순…한국 과학자, 오가노이드로 감각신경회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연구 결과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며 “어셈블로이드는 인간 특이적 신경 반응을
실험실
내에서 직접 연구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4개의 오가노이드를 이어붙인 어셈블로이드. 왼쪽부터 감각 오가노이드, 척수 오가노이드, 시상 오가노이드. 김지일 박사후연구원 ... ...
"
실험실
사고 근본 원인은 무관심…화학자들 결자해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실제로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황 연구관은
실험실
과 산업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무관심'을 꼽았다. 아무리 상세한 규정이 있어도 연구자와 작업자가 관심이 없어 규정을 읽지 않고 읽더라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는 ... ...
[동물do감] 물 마실 때마다 수면위 '곡예비행'하는 박쥐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움직임은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박쥐들이 날아다닐 수 있을 만큼 넓은
실험실
공간에서 6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지 않은 뒤 연못과 유사한 물웅덩이를 제공했다. 주변에 다양한 각도로 설치된 카메라들은 박쥐가 공간을 이동하는 3차원 영상을 촬영해 박쥐의 움직임을 자세히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