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뉴스
"
생체 분해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대상에 따라 관찰 방법 바꾸는 나노 광학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1.06.17
조절해 15㎚(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분해
능으로 편광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했다. 또 정렬 방향이 다른 단일 분자를 구
분해
측정함으로써 기술을 검증했다. 박경덕 교수는 ... 개발한 장비를 코로나 바이러스나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 연구에 활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따르면 생쥐 눈의 뉴롭신은 망막과 각막 세포의
생체
시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2019년 나온 논문을 ... 설탕은 소화효소가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
해 에너지원으로 쓰지만 아스파탐은 대사돼 ... 전 파란빛이 멜라놉신(옵신4)을 통해 뇌의 기준
생체
시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오늘날 ... ...
세포 담은 스텐트로 재협착 부작용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평가된다. 정윤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
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한동근 ... 열린 연구 브리핑에서 “약물전달 스텐트,
생체분해
성 스텐트 등이 개발되며 부작용률을 10%에서 7% 정도로 낮췄으나 여전히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혈관 치료에 쓰이는 세포를 ... ...
[과학게시판] 화학연·충남대, 희귀질환 치료제 등 신약개발 위해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등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공동 수행하기로 했다.
생체
모사 오가노이드 제작과 질병 원인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 등도 공동 연구한다. ■ 기상청은 박광성 기상청장이 30일 세계기상기구(WMO) 아시아지역 집행이사 회의에 집행이사로 참석했다고 밝혔다. 원격으로 진행된 회의는 의장국인 ... ...
마룻바닥서 전기에너지 생산…'압전 나노 발전기'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6
정육면체 실험체를 만들어 압력을 가한 결과,
생체
센서로 활용하는데 충분한 약 0.63V의 전기가 ... (Ganoderma applanatum)가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스를
분해
해 친환경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압전" 나무를
생체
센서나 발전 마룻바닥으로 실용화하는데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 ...
[랩큐멘터리] 멍게 먹지 말고,지구에 양보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소재를 이용해 물속에서도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자연 상태에서 쉽게
분해
돼 젖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차세대 의료용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황동수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친환경
생체
모사재료연구실은 배의 껍질, 곤충의 날개, 따개비, 오징어의 부리와 빨판 등 ... ...
日·美 업체는 개발 안 하는 투과전자현미경 국산화 성공
2021.01.21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
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 이들은 모두 30kV 수준의 낮은 전압에서도
분해
능을 nm 수준으로 낼 수 있어 세포 등
생체
바이오 시료나 그래핀과 같은 소재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한 선임연구원은 “개발된 투과전자현미경은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만든 소재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소재보다
생체
친화적이어서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 활용된다. 분자생명공학연구실에서 만든 대표
생체
소재는 ‘홍합접착단백질’을 활용한 의료용 ... 접착력이 강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생
분해
되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던 혁신적인 의료용 접착제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사용한다. 왜냐하면 RNA라는 물질 자체가 불안정하고 세포 밖에서 쉽게
분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세포내에는 이렇게 불안정하지만 중요한 정보를 ... 이어갈 수 있었다. 어렵게 mRNA를 이루는 핵산 중 우리딘 U를 대체하면
생체
내 독성이 완화된다는 결과를 논문으로 출판했지만, 학꼐는 그와 ... ...
폐암 조기 진단에 도움 줄 단백질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0
연구팀은 또 트림28 단백질의 체내 역할을 규명하는 데도 성공했다. 보통
생체
단백질은 생성과
분해
를 반복하며 순환한다. 이 때 작은 표지를 달아
분해
시스템으로 직행할 단백질을 구분한다. 연구팀은 트림28 단백질은 이 과정에서 표지를 달아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