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뉴스
"
뼈
"(으)로 총 1,020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완전히 투명하게 만들었다. 이 용액은 체내의 수분과 지방을 제거해 피부조직은 물론
뼈
와 신경까지 모두 투명하게 만든다. 세포를 투명하게 만들면 내부 조직을 더욱 쉽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질병을 연구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헬름홀츠 뮌헨 연구소 연구팀이 만든 투명 쥐. ... ...
[표지로 읽는 과학] "모아이 석상 만든 이스터섬 문명 자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9.14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된 유골의 치아 및 내이
뼈
에서 유전자를 채취해 게놈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유골 주인들은 이스터섬 원주민인 폴리네시아인이라는 점이 확인됐다. 방사성 탄소 연대 분석 결과 이들은 1670~1950년에 살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장에 '공룡 화석 전문가' 임종덕 국가유산청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임 국가유산청 과장을 임명했다고 9일 밝혔다. 임 원장은 한반도에서 최초로 익룡 날개
뼈
화석 등을 발견한 공룡 화석 전문가이다. 그가 새로 이름을 붙인 척추동물과 공룡 발자국도 여러 개다. 임 신임 원장은 성균관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네브래스카대에서 박물관학으로 석사 학위를, ... ...
세계 최초 안구 이식 수술 1년…시력회복은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과정에서도 경동맥과 연결된 눈이 통째로 이식됐다. 또 안구를 고정시킬 적절한 안면
뼈
를 구성하는 데는 3차원(3D) 프린팅 기술이 사용됐다. 수술 일주일이 지난 후 환자의 눈에 이식된 안구는 신체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의 압력과 혈류는 정상 수치를 유지했으며 환자는 ... ...
서울 한복판서 발견된
뼈
무더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4.09.07
동물
뼈
출토 전경. 과학동아 제공 지난 7월 17일 추적추적 비가 내리던 서울 종로구 세운4구역 재개발 건설 현장. 재개발 부지를 발굴 조사하던 현장 관계자들이 웅성거리기 ... 서늘한 수장고 안에 잠들어 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서울 한복판에서 발견된
뼈
무더기의 정체는 ... ...
200년 전 깨어난 공룡 화석에 지구의 미래를 묻는다
과학동아
l
2024.08.30
옥스퍼드 자연사박물관은 공룡 연구 200주년을 맞아 오는 10월 메갈로사우루스 턱
뼈
특별 전시를 연다. 이곳에서 만난 연구자들은 "공룡 화석 연구는 인간과 지구의 미래를 대비하는 데 있어서 가치를 매길 수 없을 정도의 유산"이라고 입을 모았다. ● 영국이 공룡 연구 강국 된 비결은 '꾸준함' ... ...
고기후 연구는 인류 진화의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24.08.24
간빙기가 있었다. (왼쪽부터)러시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소녀 '데니'의
뼈
표본. 이를 통해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사이에 상호 교배가 일어났음을 알아냈다/ 고기후·식생 시뮬레이션 결과와 고인류학적 증거를 결합해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의 공유 서식지도를 그린 결과. ... ...
엄지손가락이 하나 더 있다면…없던 신체로 뇌 연구도 한다
과학동아
l
2024.08.10
땅에서 기어다니던 물고기였는데 이들은 6~8개의 손가락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뼈
와 관절이 점점 진화하고 정교해지면서 대부분의 생물들은 손가락 갯수가 5개 이하로 줄어 들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손가락 갯수가 5개 이하로 진화한 이유가 기능적 효율성과 안전성 때문이라 추측하고 ... ...
성인 키 1m 불과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리앙부아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보다 65만년 앞선 70만년 전에 살던 유골로 밝혀졌다. 팔
뼈
화석으로 추정한 키는 성인이 100㎝였다. 키가 106㎝로 추정된 리앙부아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보다 작은 것이다. 특히 새로 발견된 치아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것보다 작고 형태도 약 130만 년 전에 ... ...
1초에 20cm 움직이는 오징어 닮은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03
제공 오징어는
뼈
가 없고 몸이 부드러운 연체동물입니다. 오징어가
뼈
없이도 바다에서 멀리 움직일 수 있는 건 지느러미와 물이나 먹을 내뿜는 관인 누두 때문이에요. 오징어는 몸통에 달린 지느러미를 앞뒤로 펄럭이면서 물을 밀어내 헤엄쳐요. 장애물을 피해 다치지 않고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