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명확
비정밀
뉴스
"
부정확
"(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양자컴퓨터가 월등한 성능을 발휘하는 분야가 있지만, 오히려 효율이 떨어지고 계산이
부정확
한 경우도 있다”면서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은 모두 필요 없어진다는 낭설은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명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지능형소자융합연구실장은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지적이 제기됐다. 원기에 오차가 있으면 이 원기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모든 질량 값이
부정확
해지기 때문이다. 각국은 원기의 질량 대신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이자 양자역학의 기본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로 질량을 정의하기로 합의했다. 플랑크 상수는 ‘기계적인 일률과 전기적인 ... ...
[기본단위 재정의] 의약업계 손익 가르는 ‘㎏’ 정의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지적이 제기됐다. 원기에 오차가 있으면 이 원기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모든 질량 값이
부정확
해지기 때문이다. 각국은 원기의 질량 대신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이자 양자역학의 기본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로 질량을 정의하기로 합의했다. 플랑크 상수는 ‘기계적인 일률과 전기적인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도 "발 빠르게 예방적 차원의 조치를 하려는 시도는 이해하지만
부정확
한 자료로 과장되게 포장하여 많은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어 까닭 없이 부정적 시각만 불러 일으켰다"고 지적한다. 국내에서 붉은불개미가 나온 건 9번이다. 지난 8일 안산의 한 물류창고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여론을 잠재울 수 없었다. 발 빠르게 예방적 차원의 조치를 하려는 시도는 이해하지만
부정확
한 자료로 과장되게 포장하여 많은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어 까닭 없이 부정적 시각만 불러 일으켰다. 전문성을 갖춰야 할 관계 기관의 허술한 대처로 사태를 키운 게 첫 번째 잘못이었다. ... ...
‘황우석 명예훼손’ 고소당했던 류영준 강원대 교수 1심 무죄 판결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선고했다. 조 판사는 “황 전 교수와 전 정부 사이의 관계를 말하는 과정에서 일부
부정확
하고 거친 내용이 포함됐지만, 생명윤리 전문가로서 비판하는 과정의 일일 뿐 명예훼손과는 거리가 멀다”며 이같이 선고했다. Pixabay 제공 앞서 류 교수는 2016년 말, 두 번의 언론 인터뷰와 한 번의 병원 ... ...
좁은 문으로 들어간 벤츠의 최후
팝뉴스
l
2018.09.25
것이 나아 보일 정도로 크게 파손되었다. 해외 SNS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위 이미지는
부정확
한 상황 판단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잘 보여준다는 평가다. 해외 네티즌들은 오판이 큰 손실을 불렀다고 말한다. 또 운전자가 만취했거나 평소 소형차를 타고 다닐 가능성도 있다는 추리가 나온다 ... ...
한 명의 동료 과학기자를 보내며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하는 것은 없던, 매일매일 사고를 안 치는 게 다행인 그런 어리숙한 수습기자였습니다.
부정확
한 뉴스로, 관점 없는 글로 선배들에게 힐난을 듣고 난 뒤 축 늘어져 있는 게 일상이었지요. 점심 때 덩그러니 우리만 남은 걸 확인하면 누가 뭐랄 것 없이 함께 나가 선배들 몰래 낮술을 기울이며 울분을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때 파라네 바르카 카뎀은 그 유전자를 언어 유전자나 문법 유전자로 부르는 것이
부정확
하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FOXP2 유전자의 결정적인 결함은 말과 명료한 발음과 많은 관련을 가질 뿐, 언어의 더 복잡한 측면까지 설명해주지는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 크리스틴 케닐리, ‘언어의 진화’(2007 ... ...
‘중국판 황우석 사태’ 논란 “조작 의도 없다”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논문 발표 이후에도 수차례 재현에 성공했다. 재현을 하지 못한 것은 세포가 오염됐거나
부정확
한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절단효소 ‘엔쥐아고(NgAgo)’가 담긴 단백질. - 네이처 ○ 진상조사 끝에 논문 철회, 대학 측 조사위도 뒤늦게 인정 2016년 8월 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