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체 해부
검시
지푸라기
지푸래기
지프라기
초개
검불
뉴스
"
부검
"(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래 100마리 떼죽음 미스터리
팝뉴스
l
2017.01.21
말했다. 현재로서는 이 많은 고래가 떼죽음을 한 이유는 미스터리다. 생물학자들이
부검
을 통해 원인을 밝힐 예정이라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주차장에서 곰 일가족이 숨진 채 발견돼
팝뉴스
l
2016.12.28
의견을 구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남겼을 정도다. 미스터리는 여러 주가 지난 후에 풀렸다.
부검
을 한 결과 곰 가족의 위에서 ‘잉글리시 주목’이라는 식물의 잎이 발견되었다. 이 식물에는 택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동물이 먹으면 독이 된다는 설명이다. ‘일가족 자살 사건’을 떠올리게 한 곰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어떻게 살아왔는지 의아할 정도였다. 실제 북해 해안가에 죽어있는 섬샛과 바닷새를
부검
해보면 90%에서 소화기에 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한다. 새들은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먹는다고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해양동물들이 있는 줄도 모르고 섭취할 수 있다. 또 아가미로 호흡하는 ... ...
혈흔 사진만 찍으면, 사망시각 10분 만에 확인
2016.06.24
24시간이 지나면 직장의 온도가 외부와 비슷해져 이 방법을 쓸 수 없다. 만 하루가 지나면
부검
을 해야 한다. 연구진은 혈흔에 들어 있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실험 쥐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식사시킨 뒤 사망 시간에 따라 양이 일정하게 줄어드는 특수 단백질(GAPDH)을 ... ...
[단독]초중고생 자살, 첫 연간 100명 이하로
동아일보
l
2016.05.06
경찰청과 복지부는 중앙자살심리
부검
센터와 연계해 지난해 학생 자살자 4명에 대한 심리
부검
을 실시했다.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자살 예방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다. 교육부는 올해 학생정서·행동 특성검사에서 자살 위험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해 내년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 ...
‘한국 미라’, 취재노트 속에서 새로 태어나다
2014.12.28
하던 저자의 모습이 떠올랐다. 업무를 하면서 동시에 미라 발굴 현장을 찾고, 고려대
부검
실에서 연구진과 꼬박 밤을 새야했던 저자의 얼굴은 며칠 만에 그야말로 ‘한국 미라’처럼 변했다. 1년이 갓 되지 않은 신참 기자의 눈에는 참 이상한 광경이었다. 저자는 책에서 당시를 “미라에 미쳐 ... ...
[유병언 미스터리] 사망원인 정말 알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27
점점 커 지고 있는 분위기다. 과연 이 시신은 유 씨가 맞는 것일까. 유 씨가 맞다면 왜
부검
을 포함한 과학적인 조사를 거쳤는데도 일체의 사인을 알 수 없다고 하는 걸까. ●“어떻게 사람이 4주 만에 백골로?” 가장 큰 궁금증 중 하나는 시신이 단기간 내에 ‘백골’ 형태로 부패할 수 있는지 ... ...
수학, 과학 지식이 뒤범벅된 미스터리 소설
수학동아
l
2014.04.10
투숙객이 항구 근처 바위에서 변사체로 발견됩니다. 처음엔 단순 추락사인 줄 알았는데,
부검
결과 사인은 일산화탄소 중독사! 살인사건일 수도 있다는 뜻이죠. 하지만 경찰의 수사는 미궁에 빠져 진척이 없고, 결국 유가와가 나서 특유의 관찰력과 논리력으로 여관 가족이 숨기고 있는 비밀에 한 ... ...
법의학 韓-美 "천지 차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현장 전문가 양성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애미 데이드 법의학 본부의
부검
실. 한 직원이 내부 집기를 정리하고 있다. - 마이애미=전승민 기자 ... ...
뇌 유전자 치료, 건망증 고칠 수 있다
동아일보
l
2013.08.30
2000년 노벨의학상 공동 수상자다. 캔들 소장 연구팀은 뇌질환이 없는 사망자 8명의
부검
을 통해 RbAp48 유전자의 활동이 노화의 진행과 함께 꾸준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의 활동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이 건망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운 뒤 쥐 실험을 통해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