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뉴스
"
바위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확률형 아이템의 득템 어려운 이유 간략 정리
수학동아
l
2021.05.02
뽑기 기계와 같은 원리지만 유저에겐 불리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수학동아DB 가위
바위
보 게임으로 술래를 정할 때도 매번 지고, 제비뽑기에서도 항상 꽝을 뽑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래서 게임 속 확률형 아이템을 뽑을 때도 ‘내 똥손 때문에 흔템(흔한 아이템)만 나오는구나’하고 ... ...
칠레 아타카마 사막서 신종 초식공룡 화석 발견돼
연합뉴스
l
2021.04.20
전문가들은 추측했다. [칠레대/AFP=연합뉴스] 지금 아타카마 사막은 모래와
바위
로 이뤄져 다양한 동식물이 살기 어려운 곳이지만, 이 공룡이 거주하던 무렵에는 양치류와 야자나무를 비롯한 식물들이 있었을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이 공룡 뼈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90년대로, ... ...
강한 파도에도 떨어지지 않는 '홍합 접착물질' 지혈 효과 증명
연합뉴스
l
2021.04.16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홍합 발끝의 섬유 다발인 족사는 강한 파도가 치는 해안가
바위
에도 단단히 붙어 있는 강한 접착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홍합 모사 성분을 이용해 혈액 내 성분들을 빠르게 접착해 지혈할 수 있는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혈우병, 만성 간 질환, ... ...
"화성 탐사 헬리콥터에 한국 스타트업 경험 녹아들어갔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수 있을지 알고 싶다"며 제작을 요청했다. 이 지역은 화성처럼 사방이 붉은 모래와
바위
로 가득해 오래 전부터 우주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의 시험장소로 각광받아 왔다. 사막 상공을 이리저리 누비던 드론은 낮은 모래 언덕을 넘는 순간 갑자기 불어닥친 강한 바람을 맞아 추락했다. 이때 ... ...
코로나19로 숨진 우주과학자, 화성의 언덕 이름으로 영원히 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APL) 연구원의 이름을 딴 '네이슨 브리지스 사구', 화성의
바위
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는 장치(APXS) 개발에 도움을 준 하인리히 전 독일 막스플랑크화학연구소 연구원의 이름을 딴 '하인리히 벵케
바위
'가 있다. 큐리오시티는 NASA가 2011년 11월 26일 화성으로 보낸 화성 ... ...
대기 희박한 화성 하늘 나는 첫 우주 헬기 '인지뉴이티' 비행 어떻게 준비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비행은 퍼시비어런스의 착륙 장소로부터 약 60m 떨어진 구역에서 시작된다. 큰
바위
가 없는 평평한 지역으로 인지뉴이티의 비행 준비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지뉴이티에 달린 인공지능(AI) 기반 내비게이션 카메라가 비행 중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활용할 바닥의 음영도 필요한데, 이런 조건도 ... ...
11일 화성 하늘에 첫 헬기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구역이다. 인지뉴이티가 날기 위해서는 착륙지점이 평평하고 비행에 걸림돌이 되는 큰
바위
가 없어야 한다. 인지뉴이티에 달린 인공지능(AI) 기반 내비게이션 카메라가 비행 중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활용할 바닥의 음영도 필요하다. 착륙장은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
화성서 규모 3 이상 '화진' 두 차례 더 측정…"살아있네"
연합뉴스
l
2021.04.02
포사이는 약 1천300㎞에 걸쳐 형성돼 있으며 벼랑에서 굴러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바위
들이 포착됐다. [NASA/JPL-Caltech/Univ. of Arizon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사이트호 지진계 SEIS 제작에 참여하고 지진 측정자료 배포를 맡은 '파리 지구물리 연구소'(IPGP)의 가와무라 다이치 연구원은 "지금까지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바깥부터 겹겹으로 벗겨진다. 그래서 화강암 절벽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울산
바위
처럼 돔 형태의 둥글둥글한 모습으로 바뀐다. 제주도 현무암에는 화산 활동의 흔적이 남아 있다. 용암이 흐른 자국인 ‘새끼줄구조’와 용암이 식으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갈라진 ‘주상절리’가 그 예다. 화산이 ... ...
화성 하늘에 첫 헬기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장착된 카메라가 인지뉴이티의 비행장을 촬영했다. 바닥이 고른 평지 중간중간
바위
가 박혀있는 모습이다. NASA 제공 인지뉴이티를 퍼시비어런스에서 분리하는 일도 매우 조심스러운 작업이다. 퍼시비어런스가 비행장에 도달해도 인지뉴이티를 내려놓는 데만 화성의 6일(지구의 6일 4시간)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