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차세대 이차전지 용량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생산에서 전자 이동을 촉진하는 물질(도전재)로 사용되면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에너지
밀도
를 크게 높일 수 있다. 하지만 CNT는 서로 응집하려는 성질이 매우 강해 서로 엉킨 구조를 갖고 있다. 또 이차전지의 다른 물질인 바인더, 활물질 등과 고루 섞이지 않는다. 특히 건식 공정의 경우 CNT를 ... ...
미끌미끌한 미역 출생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23
미역류에는 여러 종이 있습니다. 일정한 면적의 테두리로 그 안에 있는 미역의 서식
밀도
와 개체 크기를 측정하는 방형구. 심수환 제공 부산 기장 미역은 표면이 매끄럽고 잎이 좁고 길며 암갈색인 반면 울릉도 바다 미역은 청색과 검은색을 띠고 표면이 껄끄럽기도 합니다. ● 미역은 성별이 ... ...
광물 제올라이트 모방 촉매…온실가스 메탄,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11.22
밀도
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반응을 더 원활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전자
밀도
변화는 탄소-수소 결합 활성화 반응에서 에너지 장벽을 낮춰 반응속도를 가속하는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알루미늄 금속의 촉매 작용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 ...
효율 좋은 항공우주산업용 배터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향상됐다. 전극과 전해질 접촉면이 획기적으로 증가해 전기화학적 성능이 개선된 고
밀도
구조 배터리를 제작한 것이다. 경화 공정 중 구조 배터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어해 구조 배터리의 기계적 물성도 향상시켰다. 김 교수는 “고강성 초박형 구조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체 ... ...
양자 컴퓨팅 혁신 열쇠 '나선성 메커니즘'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모든 대칭성이 깨져 ’나선성 구조‘가 형성됐다. 전하
밀도
파와 격자 변형의 대칭성 차이가 나선성 구조 발현 메커니즘의 핵심이었다는 것이다. 김범준 교수는 “1976년 1T-TiSe₂의 결정 구조가 처음 보고된 이후 이 물질에서 나선성이 발현된 최초의 실험적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뇌연구원, 영국·네덜란드와 뇌질환 공동연구 확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암모니아는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연료다.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
가 높고 운송과 보관이 유리해 해운 산업 분야 대체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두 기관은 그린 암모니아를 이용한 선박 연료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뼈들이 튀어나와 있다. '뼈층'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모습이다. "뼈
밀도
가 너무 높아서 발굴이 힘들 정도예요." 과장이 아니다. 뼈가 서로 섞여 층층이 쌓여 있어 다른 뼈를 건드리지 않고 화석을 꺼내기 어려울 정도다. 뱀포스 큐레이터가 그중 땅바닥에서 크게 튀어나온 넓적하고 얇은 뼈를 가리킨다 ... ...
신개념 이차전지 설계로 에너지
밀도
20%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후속 연구를 통해 에너지
밀도
가 더욱 개선된 이차전지를 구현할 계획이다. 고에너지
밀도
와 고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전극 설계 등 연구를 지속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트리얼’에 지난달 22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02/aenm.20240365 ... ...
한국 '인공태양' 극한 환경 플라즈마 운전 기술 확보 실험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운전 시나리오 확보를 위한 플라즈마 물리 실험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고온·고
밀도
·고전류 조건에서 높은 ‘가둠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고성능 시나리오 연구와 고성능 플라즈마 환경을 방해하는 각종 불안정 현상을 억제할 기술 연구를 확대한다. 텅스텐 디버터의 성능 점검 및 내벽 ... ...
달 기지용 원자로 개발 '착착'…"아르테미스에 한국 역할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제약이 생긴다. 원자력 시스템은 극한 환경에서도 신뢰도가 높고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
도 높다. 작은 규모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 방사성동위원소 발전, 핵분열 발전시스템 연구 '착착'…'아르테미스'에 활용 가능 달 기지 등 우주에서 활용할 수 있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