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대함
광대무변
뉴스
"
막대함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24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안기리 논에서 한 농민이 폭우로 유입된 물을 빼고 있다. 태안에는 23일 새벽부터 하루 사이 199.5㎜의 비가 내렸다. 연합뉴스 지난 2018년 기록적인 무더위로 지쳐갈 때 기상당국의 희망고문이 있었다. 처음에는 8월 10일 경이면 끝날 거라더니 15일, 20일, 25일로 몇 차례 연기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에드바르 뭉크의 ‘멜랑콜리’(1893). (제공 위키피디아 제공)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심리적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태를 나타내는 '코로나 블루(corona blues)'라는 용어도 만들어졌다. 여기서 블루는 물론 파란색이 아니라 우울 ... ...
전세계 코로나19 환자수 1800만 명 돌파...하루 신규 환자 30만 명 근접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도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현황이 담긴 미국 지도를 가리키고 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제공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전세계 누적 환자수가 1800만 명을 넘어섰다. ... ...
코로나19 이동제한 미세먼지 못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1월 26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있는 옵틱스 밸리 광장 인근을 촬영한 항공사진. 움직이는 차량이 보이지 않는다. 신화/연합뉴스 제공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으로 인해 중국의 대기 오염물질은 줄었으나 미세먼지는 오히려 더 많이 발생한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해당 변이 '감염 민감 부위'로 일찍부터 주목 전문가들 "아직 특이사항 없어 더 많은 연구 필요" 바이러스 게놈 연구 프로젝트인 넥스트스트레인을 이용해 이번에 논란이 된 코로나19 바이러스(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 614번 아미노산의 변이 계통을 살펴봤다. 전세계 2779개 바이러 ... ...
"코로나19 바이러스 핸드폰에 오래 남아있어…자주 닦아야"
연합뉴스
l
2020.06.11
인도 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 침방울 마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중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은 어떤 경우에 더 오래 남아 있을까? 핸드폰이나 면(cotton), 나무 표면에서는 침방울이 마르는 데 오래 걸려 더 자주 닦아주는 게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주기율표 113번 원소 '니호니움(nihonium·원소 기호 Nh)' 발견의 주역인 규슈대 모리타 고스케 교수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6.9. 연합뉴스 제공 19세기의 시작과 함께 기억할만한 사건은 전지의 발명이다. 이탈리아 파비아대의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는 전기를 연구하던 도중 전지를 발명했다. ... ...
"코로나19 핸드폰·면·나무표면에 더 오래 남아있을 수 있어"
연합뉴스
l
2020.06.10
"코로나19 핸드폰·면·나무표면에 더 오래 남아있을 수 있어" 인도 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 침방울 마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중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은 어떤 경우에 더 오래 남아 있을까? 핸드폰이나 면(cotton), 나무 표면에서는 침방울이 마르 ... ...
[프리미엄 리포트]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2020.06.06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앉아있는 시간이 많다. 특히 이론물리학자나 수학자의 경우 대체로 몸보다는 뇌를 더 많이 움직인다. 이론물리학자인 필자의 뱃살도 날마다 늘어가는 느낌이다. 2002년 개봉한 미국 수학자 존 내시의 삶을 다룬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보고 그의 천재성과 고뇌보다 배우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3140배 확대한 인간의 정자. 위키피디아 제공 과학의 역사에서 16세기와 17세기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를 하나 꼽으라면 광학장비를 들 수 있다. 바로 망원경과 현미경이다. 망원경은 천체와 우주 등 과학의 연구대상들 중에서 가장 큰 (그러나 아주 멀리 있는) 것들을 보는 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