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중작가"(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2018.08.14
- 매년 10월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면 분야에 따라 반응이 천차만별이다. 지난해 생체시계 같은 경우는 내용이 어렵지 않고 우리가 체험하는 현상이기도 해서 관심이 높았다. 반면 어떤 경우는 그런 분야가 있었는지도 몰랐던지라 어리둥절하다. 2006년 노벨생리의학상이 그런 경우로, ‘RNA간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자아를 전송할 수 있을까… ‘채피’동아사이언스 l2018.07.28
- 영화 채피의 주인공 로봇은 자신의 죽음을 두려워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유니버설픽쳐스인터내셔널코리아 제공 완벽한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한다면, 자신의 존재를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 그 로봇은 인간사회에 녹아들기 위해 노력하게 될까, 아니면 인간보다 뛰어난 지능과 육체적 능력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습관은 고치기 어렵다고들 하고 심지어 ‘인간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어떤 계기로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거나 어떤 행동을 해서 놀라운 효과를 봤다면 바뀔 수도 있는 게 사람이다. 습관을 고치기는 어렵지만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 습관이 바뀔 수 ... ...
- [테마영화] 칸 황금종려상 수상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BEST 32018.05.26
- 많은 이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얼마 전 막을 내린 칸 국제영화제에서 이창동 감독의 ‘버닝’은 본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반면 이웃 나라 일본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만비키 가족’으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오늘은 유독 칸 영화제와 인연이 깊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탐사활동 기지개 켰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4.27
- ‘지구사랑탐사대’ 6기가 힘찬 첫 발을 내딛었어요! 지난 4월 14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발대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거지요. 발대식에는 약 900여 명의 대원들이 참가해 연구자들에게 직접 6기 탐사활동에 대한 설명을 들었답니다. 지금 바로 그 현장을 만나 볼까요? 지난 4월 ... ...
- 이모티콘 어디까지 써 봤니? 여성직업, 장애인, 예술작품까지 끝없이 확장 중 2018.03.27
- 얼마 전 애플이 이모티콘에 장애를 주제로 한 이미지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애플은 미국 청각장애인협회, 뇌성마비위원회 등 장애인 지원 기관들과 협력해 맹인 안내견, 의족, 의수, 휠체어, 보청기 등 13개의 이모티콘을 만들었습니다. 애플은 새로운 이모티콘을 유니코드 협회에 제안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초록색 무리에는 오리나뭇잎의 f, 덜 익은 사과의 p, 피스타치오의 t가 있다. 약간 보라색이 섞인 듯한 흐린 초록색이 w를 두고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색이다. 노란색의 경우 다양한 e와 i가 있으며, 크림색의 d, 밝은 황금색의 y, 그리고 철자의 가치를 ‘올리브색 광채가 나는 놋쇠 같은 느낌’이라고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④]가장 현실적인 인간형 로봇기술… ‘리얼스틸’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영화 리얼스틸 속 '로봇 복싱' 장면. 드림웍스 제공. 영화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로봇은 사람처럼 두 발로 걷고, 두 손으로 물건을 들어 나르는 ‘인간형 로봇’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이라고 영어 이름을 그대로 쓰기도 하고,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다고 해서 ‘2족 보행 로봇’, ‘두발 로봇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우리는 제당업계가 하버드대의 영양학 연구나 이 분야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당연구재단(SRF)의 리뷰 문헌 지원이 식단 과학과 정책의 방향을 좌지우지했다고 결론내릴 만한 타당한 근거는 없다고 생각한다 - 데이비드 존스 & 제럴드 오펜하이머 영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좌뇌형 인간, 우뇌형 인간 정말 따로 있나? 2018.02.18
- 좌뇌형 인간, 우뇌형 인간 따로 있을까? - GIB 제공 “당신은 논리적인 좌뇌형 인간. 하지만 창의력이 부족하네요. 우뇌를 많이 활용하세요” 아마 이런 식의 이야기를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른바 좌뇌 우뇌 이야기입니다. 이 주장에 의하면 좌뇌는 추상적인 언어나 사고, 수학적 계산, 추리 능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