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뉴스
"
난
"(으)로 총 1,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사실 왼손잡이다? 왼손잡이 아미노산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4.07.27
'왼손잡이 화학물질'이라고 부릅니다. ● 왼손잡이 아미노산이 가득한 수프에서 태어
난
우리 재미있는 건 생명체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는 대부분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한쪽에 치우쳐 있다는 겁니다. 이걸 '단일 카이랄성'이라고 불러요. 아미노산은 오른손잡이 물질보다 ... ...
시험관 시술 성공률 7% 높이는 먹는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일반적인 임신 과정에서의 증상이 투약 여부와 관계없이 공통으로 나타났다. 또 태어
난
아기들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을 때 건강한 발달 과정을 보이며 큰 부작용이 없는 것이 확인됐다. 리처드 앤더슨 에든버러대 산부인과 교수는 “단순 경구 약물로 출생률이 7% 가량 증가하는 효과가 ... ...
뎅기열에 걸리면 열이 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06
때문이죠. 인도양의 해수면 평균 온도는 30여 년간 점점 올랐습니다. 연구팀은 “지구온
난
화가 심각해지며 열대 지역이 따뜻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인도양 해수면 온도는 뎅기열 발병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관련기사 ... ...
미생물 활용한 '계란 대체물'로 머랭 쿠키 구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적은 자원으로 만들어낼 수 있고 영양성분도 뛰어나다. 연구팀은 "미생물 바이오매스로
난
액을 대체할 기술을 개발한다면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자원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영양 측면에서 우수해 평소 식량에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미래 장거리 우주여행 ... ...
[동물do감] 동물 사체 먹어 양떼 지키는 거대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원인으로 꼽힌다. 구더기는 동물의 몸에 기생하며 조직을 뜯어먹는다. 이때 동물의 몸에
난
상처를 통해 치명적인 피부 질환 등에 감염된다. 피부 외에도 눈, 귀 등 다양한 부위에서 괴사를 일으켜 동물의 폐사를 일으킨다. 이같은 초파리에 의한 피해를 일명 '플라이 스트라이크'라고 한다. 초원에 ... ...
손가락 땀에서 항생제 검출…"내성균 관리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항생제 성분은 약물 섭취 후 1~4시간 사이에 검출됐으며 대사산물은 섭취 6시간이 지
난
이후 가장 잘 나타났다. 연구팀은 "의사들은 결핵 환자들이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지문을 이용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하는 빠르고 편리한 방법은 어린아이 등 다양한 환자에게 보다 ... ...
[푸드테크 뜬다]④ 육류와 근접 '식물성 대체육' 우려되는 조류독감도 예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대한 거부감, 고기는 건강에 나쁘다는 소비자 인식,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으로 생겨
난
동물 복지, 지속 가능한 개발 등 많은 장점이 있어 대체 음식으로 호응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식물성 대체육은 겉모양뿐 아니라 맛과 텍스처도 실제 고기와 점점 비슷해지고 있다. 김필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2024.06.15
상했을 가능성이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경향이 꽤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
난
다는 점에서 나 또한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안다. 앞으로 더 조심해야겠다. 특히 주변 사람들이 내 말을 잘 듣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내가 틀렸거나 또는 그냥 서로 의견이 다를 가능성을 생각해 ... ...
동물실험 약물 20개 중 최종 승인 '1건'...대체법 마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대상 약물 사용 승인으로 결론이
난
것은 5%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최종 사용 승인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은 동물실험 설계의 결함 때문일 것으로 분석했다. 동물실험을 보다 견고하게 설계하고 동물실험에서 보인 약물의 ... ...
정부, 마약중독·자살 예방 R&D 등 보건의료기술에 2조2097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플래그십 대형 프로젝트다. 정부는 올해 국가 생명연구자원 부문에서는 지
난
해 대비 약 10.7% 증가한 총 2025억원을 투자한다. 환경부의 데이터센터를 국가 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과 연계시켜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K-BDS는 범부처 바이오 연구개발 데이터의 통합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