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리
권력
직권
권세
권능
직위
위세
뉴스
"
권한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막 오른 우주인터넷 시대...'유령' 인공위성 우려도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사업 확장 계획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ITU는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배하는
권한
을 가진다. ITU로부터 지구 고도 300~1500km의 저궤도 자리를 할당받아야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인공위성은 보통 '군집(constellation)' 단위로 신청하는데 1개 군집에 적게는 10기, 많게는 1만 기 이상의 ... ...
[특별기고] ④백신 개발 정부지원금 삭감 계획 유감
2023.10.11
지원하고 있었다. 임상1상 결과에 따라 임상2상 부터는 파트너사가 해당 국가의 사업
권한
을 받고 주도적으로 해당국의 임상개발을 진행하는 공동개발 및 사업화의 추진을 계획하고 있었다. 만일 예산이 삭감될 경우 해외 임상의 수행은 개발비 부족으로 개시조차 할 수 없어 현재는 파트너사와의 ... ...
美 정부, '우주쓰레기' 방치에 사상 첫 벌금 부과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센트럴랭커셔대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 기관이 실제적인 규제
권한
을 처음으로 사용함으로써 업계가 우주쓰레기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업무스트레스·노력-보상 불균형 겹치면 남성 심장병 위험 2배"
연합뉴스
l
2023.09.20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업무 스트레스는 업무에 대한 통제
권한
이 적은 상황에서 요구 사항이 높은 업무 환경을 의미하며, 노력-보상 불균형은 업무에 큰 노력을 기울이지만 그 대가로 받는 급여, 인정, 또는 고용 안정 같은 보상이 불충분하다고 인식하는 경우다. 추적 ... ...
우주항공청 설립 속도 낼까…전문가들도 의견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3.09.13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다. 현재 정부안은 우주항공청장에게 근무하는 공무원에 대한 임용
권한
을 부여한다. 또 직무와 관련한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도 이를 매각하거나 신탁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겸직도 허가한다. 야당은 이같은 특례에 대해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변재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지뢰밭이고 모든 부처가 과기부를 눈의 가시처럼 여기고 있다. 기재부는 과기부의 편성
권한
을 가져오고 싶어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는 산업‧에너지‧원자력 정책을 두고 오래 전부터 고질적으로 충돌해왔다. 최근에는 바이오 산업을 두고 보건복지부와도 부딪치고 있고 기후 산업을 두고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정부에서 느닷없이 되살려놓은 혁신본부도 상황을 어렵게 만들어버렸다. 과기정통부의
권한
을 떼어 내고 싶어 하는 부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더 이상 국가 지도자의 관심에만 매달리는 권위주의 국가가 아니다. 부처의 견고한 칸막이에 갇힌 ... ...
챗GPT, 글쓰기 능력 40% 향상..."업무 생산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7.14
챗GPT를 이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챗GPT 사용군은 작업을 완료하는 데 16분, 챗GPT 접근
권한
이 없는 군은 27분이 걸려 챗봇이 작업 시간을 40%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전문가에게 실험참가자들의 글의 품질을 평가하게 한 결과에서는 챗GPT 사용군의 점수가 18% 더 높았다. 실험참가자들이 ... ...
"그로시 IAEA 총장 발언, 日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수입금지 조치는 전적으로 한국 정부의 결정이자 책무이며 IAEA
권한
밖의 일이라고 말했다"며 "사무총장의 발언을 두고 더이상 오해가 없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후쿠시마산 수산물에 대한 우려가 늘면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자 어민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 ...
김성용 KAIST 교수, 美 해양과학회 한국 대표로 초청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위원으로서 해양 물리 전 분야와 수산 분야의 세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결정하는
권한
을 가진다. 김 교수 임기는 지난 2월부터 2년간이다. 한편 김 교수는 2021년부터 해양디지털트윈(DITTO)의 해양관측 분야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하고 있다. DITTO는 국제연합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해양과학 10개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