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활용
반사
끝바꿈
어미변화
대기차
어형 변화
뉴스
"
굴절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재료硏-서울대, ‘소재 콜로키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우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노 교수는 나노 광학 구조체를 이용해 투명 망토, 음
굴절
및 초박막 홀로그램, 컬러필터 등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여러 광학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제공 빛은 두 물질의 경계면을 만나면 보통 경계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하거나
굴절
돼 경계면을 통과한다. 그러나 빛이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에 따라 경계면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도 보인다. 이를 ‘광스핀홀 효과’라고 한다. 회전하는 전자들이 반도체를 통과하면서 구부러진 경로를 ... ...
빨강·초록·파랑 가시광선 조절하는 투명 실리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사이에 수소 원자를 삽입해 실리콘 원자 간 규칙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냈고, 이를 통해
굴절
률이 높으면서도 투과율까지 높은 비정질 실리콘 원자 구조를 알아냈다. 또 기존 실리콘으로는 조절할 수 없었던 빨강, 초록, 파랑 등의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실험 결과 ... ...
'광섬유의 아버지' 나린더 싱 카파니 향년 94세로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8
변환해 목적지까지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유리섬유 내부와 외부의
굴절
률을 다르게 해 빛을 가두는 원리다. 광섬유 속에서 빛은 내부로만 모두 반사되는 전반사를 일으키며 앞으로 진행해 나간다. 광속의 3분의 2에 가까운 속도로 정보를 보낼 수 있어 실시간에 가까운 대륙간 텔레비전 ... ...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패턴도 나타난다. 연구팀은 고분자에 비친 빛의 양을 군데군데 다르게 하고 굳기와
굴절
률이 3차원적으로 달라지게 했다. 빛의 양을 다르게 하기 위해 쓰는 마스크 종류를 바꾸면 구조색과 홀로그램 문양도 바꿀 수 있다. 마스크는 정밀 공정을 통해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분노는 스스로 독을 마시는 것과 같다
2020.11.21
일까지 서슴지 않는다. 내 문제의 진짜 원인은 다른 곳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잘못
굴절
된 분노를 내뿜으면 일단은 속이 후련해짐을 느낀다. 하지만 문제는 그 이후다. 다른 감정들과 달리 분노와 악의는 뿜어내면 뿜어낼수록 해소되기보다는 더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화를 내다보니 점점 더 ... ...
손가락 터치로 홀로그램 구현...미래 디스플레이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교수와 김영기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투명 망토’나 ‘음
굴절
’을 구현할 수 있는 메타물질에 액정기술을 접목,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초소형 홀로그램 장치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10일자(현지시간) 표지논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카메라에 비유하면 수정체는 렌즈이고 망막은 이미지 센서다. 수정체는 가운데로 갈수록
굴절
률이 큰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 때문에 렌즈를 통과한 이미지의 초점이 모이는 초점면은 반구 형태를 띤다. 물고기 눈의 망막은 이 초점면과 정확히 일치해 넓은 시야각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받아들일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원하는 데이터만 선별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IGZO층의 전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굴절
률이 감소하고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빛의 공명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IGZO 기반 가변형 컬러필터 기술 모식도 및 마이크로 컬러픽셀 실험 결과. 포스텍 제공. 연구팀이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얇은 막으로 빛을 가둬 전파시킬 수 있는 ‘박막도파로’ 광결정에 주목했다. 광결정은
굴절
율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구조물로 특정 주파수 영역의 빛을 강하게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박막도파로를 결합시켜서 빛을 그 안에 영원히 가둘 수 있게 만들 수 있다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