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견·반려묘, 뇌 인지 저하 늦춰…물고기·새는 연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5월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공개
했다.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럽 건강과 은퇴 조사(SHARE)' 8차 조사 데이터 18년 치를 분석해 50세 이상 성인에서 나타나는 반려동물 유무와 인지기능 저하 사이의 관계를 ... ...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월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공개
됐다. 광유전학은 뉴런에 특정 파장의 빛 자극을 가해 뉴런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다양한 뇌질환 원인을 규명하고 난치성 뇌질환을 치료할 새로운 방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광유전학은 광원의 ... ...
"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
2025.07.05
이날
공개
된 특별 축하 영상에서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킴은 어린이들에게 "꿈꾸는 것을 멈추지 말고 계속 반짝이길 바란다"며 "언젠가 별들 사이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정균 보령 대표는 "올해는 단순히 우주정거장으로 그림을 보냈다면 앞으로 아이들의 실험물이나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지역이다. 2027년에는 난기류 발생 여부를 퍼센트 확률로 더 정밀하게 예측하는 시스템을
공개
할 계획이다. 자료: 항공기상청 기상 관측 기술 개발팀에서 근무했던 김 주무관은 "AI에 난기류와 대류운 등의 구름 형태를 입력해 한국의 주요 항로에서 난기류가 생성될 확률을 학습시키고 있다"며 "주요 ... ...
메탄 감시 첨단 위성 '메탄샛' 실종…"기후 위기 대응 차질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감시하는 위성 중 상당 수는 민간이 운영하는 장비로, 데이터를 일부만
공개
하거나 비
공개
로 운영하기 때문이다. 메탄샛의 상실은 단순한 개별 장비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 메탄 감시망 전체에 구조적 공백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향후 대체 장비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메탄 ... ...
北 핵폐수 실태조사…강화도·한강 하구 10개 지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채취돼 KINS 분석실로 옮겨진다. 우라늄과 세슘, 중금속 오염 정밀 조사결과는 약 2주 후
공개
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2019년에도 비슷하게 평산 우라늄 정련 공장에서 방사성 폐수 방류 우려가 제기돼 원안위가 한강과 서해 물을 채취하고 우라늄 오염을 확인해 이상이 없다는 결론을 낸 ... ...
美 이란 핵시설 공습 현장…텔레픽스 위성 솔루션이 생생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미국의 미사일 폭격을 받은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과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4일
공개
했다. 공습 전후의 핵시설 모습 변화를 정밀하게 비교 분석한 것으로 자사의 인공지능(AI) 큐브위성 블루본(BlueBON)과 위성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솔루션 샛챗(SatCHAT)을 유기적으로 활용한 첫 실증 사례다. ... ...
4500년전 가장 오래된 이집트인 오른발에 관절염이…유전체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유전자를 추출·해독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
했다. 고대 이집트의 고고학적 증거는 이집트와 서아시아의 무역과 문화 교류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해 왔다. 문자 체계나 도자기 같은 물건이 교환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당시 사람들의 DNA는 ... ...
정상 인체 세포의 돌연변이 발생 양상 보여주는 '첫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것”이라며 “이번에 생산한 데이터는 국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공개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세 돌연변이 분석은 노화와 심장병, 치매 등 다양한 질환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doi.org/10.1038/s41586-025-09096- ... ...
[동물do감] 바다거미, '배' 없는 이유는 유전자 증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연구결과를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비엠씨 바이올로지(BMC Biology)'에 2일(현지시간)
공개
했다. 매듭 바다거미는 북대서양의 바위 해저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생강 뿌리처럼 생긴 바다거미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바다거미가 복부가 없는 이유는 복부 발달을 조절하는 혹스(Hox) 유전자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