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뉴스
"
곤충
"(으)로 총 74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감염된 동료 다리 '절단 수술' 집도하는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다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개미의 다리를 소규모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분석했다.
곤충
은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는 심장이 없는 대신 근육이 펌프처럼 작용해 몸에 혈액을 순환시킨다. 근육으로 구성된 대퇴골은 부상을 입으면 근육이 손상돼 병원균이 퍼지는 속도가 저하된다. 반면 경골 부상의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전파를 차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클 스트란다 미국 조지아대
곤충
학과 교수팀이 모기의 인간에 대한 끌림과 흡혈 행동을 조절하는 한 쌍의 호르몬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피를 빤 모기가 인간을 덜 무는 ... ...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탄수화물은 보통 에너지원이고 지방은 에너지 저장용으로 쓰인다. 창작물 등에서 미래에
곤충
을 먹는 모습을 그리는 것도 단백질 공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Q. 식품신소재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하다고 했는데. (김) "기존 경제동물인 돼지, 소, 양 등은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 전염병에 취약하고 ... ...
생물 교과서 '정설' 뒤집었다…
곤충
혈구세포도 산소 전달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조절하는 기능을 최초로 규명한 본 연구는 생물학 교과서를 바꿀 내용"이라며 "
곤충
을 비롯한 무척추동물의 호흡 발달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에 연구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식물 질병까지 먼 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내용에 대해 학계에서는
곤충
의 이동을 추척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준 혁신적인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doi.org/10.1038/s41467-024-49079- ... ...
KIST, 백신 안전성 높이는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트레할로스'를 이용했다. 설탕을 대체하는 감미료로 알려진 트레할로스는 식물과
곤충
에서 발견되는 당 성분이다. 트레할로스는 독성이 없고 백신 물질과 결합이 쉽다. 연구팀은 기존 지질 나노입자에서 50%를 구성하고 있던 이온화 지질을 25%로 낮추고 대신 트레할로스 25%를 추가해 새로운 지질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화석을 보며 매력을 느꼈다고 전했다. 퇴적학 전공인 그는 "시내를 걷다 보면 미생물,
곤충
, 식물 등 화석이 발견될 정도"라면서 "포항은 화석 박물관 같다"고 포항을 치켜세웠다. 지난해 2월 포항 남구 구룡포읍 블루밸리산단 내 소하천에서 길이가 10.2m인 대형 나무화석이 발견됐다. ... ...
바퀴벌레도 잡는다는 '풋샴푸' 정체는
과학동아
l
2024.06.15
파라핀 등의 농약은 이런 방식으로 해충을 죽인다. 또한 비누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곤충
의 외피 구조인 키틴질을 투과할 수 있다. 그래서 살충제에 들어있는 계면활성제는 살충제 성분이 체내로 잘 이동하도록 돕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실제로 계면활성제는 살충제의 부자재나 물리성을 향상시키는 ... ...
예견된 하루살이떼의 서울 '급습'…"유전적 다양성 높아 더 심각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물 수도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하루살이는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 서식하는 수서
곤충
인 탓에 해외에서는 하루살이 수가 지나치게 감소하면 수질에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동양하루살이는 물 속 유기물질을 걸러 먹어 수질 정화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미관상 불쾌감을 주기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있는지 조사했다. 애벌레 몸에 난 털인 강모(setae)들이 후보군으로 선정됐다. 일부 강모는
곤충
의 날갯짓과 비슷한 주파수 범위에서 전기장에 공명을 일으키며 강하게 반응했다. 연구팀은 "강모가 전기적으로 민감하고 포식자의 날갯짓 주파수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