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강연자"(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술경영인 교류의 장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9
- 홍대순 글로벌전략정책연구원장과 정하웅 KAIST 석좌교수, 장병탁 서울대 교수가 강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또 기술경영인과 가족이 함께하는 문화, 인문강좌도 진행된다. 김헌 서울 교수는 ‘영원한 기억, 음악의 여신 뮤즈’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김도형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과 하지현 ... ...
- 카오스재단, 제12회 카오스콘서트 '변신, 기원이야기'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0
- 강연을 통해 생명 진화의 대변신을 만든 8가지 사건들을 다룬다. 강연이 끝난 이후에는 강연자 3명이 패널로 재출연해 ‘인류원리’, ‘과학의 변신’, ‘미래의 변신’을 주제로 패널토론을 진행한다. 이후 밴드 ‘닥터스’의 공연도 스페셜스테이지로 열린다. 김남식 카오스재단 사무국장은 ... ...
- '역시 그 스승의 그 제자' 케미로 똘똘 뭉친 수학계 '특별한'사제지간 수학동아 l2019.05.15
- 의논 상대이자 조력자"라고 밝혔다. 최 교수는 국제학술대회 조직과 국제학회 기조강연자, 국제학술지 편집위원 등 해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최 교수가 먼저 도움될 만한 정보를 얻으면 먼저 이 교수에게 말해 주기도 하고 역으로 이 교수가 되묻기도 한다. 이 교수는 "최 교수는 청출어람한 ... ...
- SW개발자 꿈 키우는 무료강연 전국서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4.23
- 말했다. 강의가 열리는 도서관 정보는 http://somul.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연자나 진행자로서 자원봉사하기를 원하는 참가자는 https://apply.somul.kr/volunteer 에서 신청할 수 있다 ... ...
- 항생제에 강해지는 한강의 세균들…내성 유전자 최소 300종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9.04.21
- 자연으로 흘러나가는 것이다. 채종찬 전북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이날 차 교수에 이어 강연자로 나서 ”축수산업에서는 동물 사료에 항생제를 넣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특히 양식장에서는 테트라사이클린이 많이 쓰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축수산업계 폐수처리장 등에서 ... ...
- "AI 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비판적 사고 함양"동아사이언스 l2019.04.04
-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더(THE)가 공동 주최한 ‘이노베이션&임팩트 서밋’의 기조 강연자로 참석하기 위해 2일 방한했다. 그는 사이버 보안을 예로 들면서 로봇 프루프를 설명했다. 그는 "사이버 보안에서 앞으로 중요한 기술은 해커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인데, 이런 부분은 로봇이 할 수 없다. ... ...
- “특허·창업은 이제 대학의 주업무, 인식 바꿔야" 2019.04.03
-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더(THE)가 공동 주최한 '이노베이션&임팩트 서밋'의 기조강연자로 참석하기 위해 2일 방한했다. 그는 "지금은 지식이 전례없이 빠르게 창출되는 시대로, 과거와 결별한 새로운 대학 교육이 필요하다"며 "1억 편 가까이 되는 어마어마한 양의 학술 연구가 쌓이고 있지만 ... ...
- [과학게시판] 카오스재단 '기원, 궁극의 질문들' 주제로 봄 정기강연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에코과학부 교수를 비롯한 우주, 물질, 생명, 인류 등 기원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자들이 강연자로 나선다. 강연 신청은 이달 27일까지 카오스재단 홈페이지(www.ikaos.org)에서 할 수 있고 수강료는 무료다. 신청자가 300명을 넘으면 추첨을 통해 선정한다. 강연은 포털사이트를 통해서도 생중계된다. ■ ... ...
- [미래융합포럼]“융합의 기본은 성찰, 인간 중심으로 기술을 재편해야"동아사이언스 l2018.11.21
- 교수는 21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18 미래융합포럼’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앞으로 다가올 첨단기술 사회에 인간 사회의 모습이 어떻게 바뀔지 대해 분석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대부분은 ‘인간의 일을 로봇이 대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이 생각을 ... ...
- 집단지성의 기부, 과학의 하늘을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8.10.18
- 행사는 혼자서 할 수 없다. 적을 땐 전국 25개, 많을 땐 50여 개 도서관이 참여하는 행사다. 강연자, 진행자만 해도 수백 명이 필요하다. 기적이 일어났다. 트위터에서 그의 뜻에 공감한 300명이 세 시간 만에 모였다. 이들은 알아서 강연자, 강연 진행자, 행사 기획자로 분업해 뚝딱 행사를 치러냈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