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역"(으)로 총 1,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를 다녀와서기사                                        l20240911
- 구경했습니다. 코난의 배경이기도한 하코다테 야경은 눈으로 직접보니 더욱 멋있었습니다.       4일차 아침 식사를 마치고 모토마치 지역을 산책했습니다.  뷰가 예뻐서 광고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는 하치만자카 언덕길과 러시아 정교회, 카톨릭, 절을 둘러보았습니다. 한 공간에 다양한 종교 건물이 있다는 게 신기했습니다.    오전 산책을 마치고 드 ...
                            
                                                        - 2024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를 다녀와서기사                                        l20240910
- 바닷가 통나무 펜션에서 바베큐 파티와 짚라인을 타며 친구들과 재밌게 놀았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미소가 지어집니다.  모토마치 지역 산책과 트라피스트 수도원, 고료카쿠 등 하코다테의 명소들에 방문해보고  멋진 야경도 볼 수 있었어요.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열심히 취재도 하고, 하코다테의 다양한 매력을 경험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 ...
                            
                                                        - 하코다테 과학기자단캠프를 갔다와서기사                                        l20240909
- 잡히지 않던 물고기입니다. 하코다테의 바닷물은 방어가 살기에 너무 차가운데 지구온난화로 바닷물이 따뜻해져서 따뜻한 지역에 살던 방어가 하코다테에서 잡히고 있습니다. 하코다테는 모처럼 잡히는 방어를 먹기 위해 방어양념까스와 방어소금라멘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하코다테에서는 물고기를 가장 많이 잡는다고 생각하지만, 그 외에도 일본에서 가장  ...
                            
                                                        - 지질계의 올림픽! IGC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에 다녀오다기사                                        l20240908
- 열이 모아지는 원리라고 하고, 쉽게 말해서 돋보기로 열을 증폭시키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중동지역에서는 일반지역보다 3배이상의 열(약 5000도)를 낼 수 있어서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서 바닷물을 담수화하거나 난방을 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을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일반 태양열발전의 4배에 ...
                            
                                                        - 2024년 하코다테 국제과학제에 다녀오다.기사                                        l20240906
- 대학교를 설립한 것이 본인의 업적 중 가장 큰 성과이다’ 라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마 교수님께서는 다른 지역에도 하코다테 같은 과학제가 생기길 희망하고, 어릴 때 과학제에 참여하였던 학생들이 성장해 다시 과학제에 발표자이자 선생님으로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하셨습니다. 또, 어과동 기자단처럼 외국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
                            
                                                        - 2024 IGC(세계지질학총회) 부스 탐방!기사                                        l20240901
- 합니다.   로봇 설명이 끝나고 30분 정도의 자유시간이 있어서 지질도에 대해 설명을 들었습니다. 지질도에서 색이 칠해진 곳은 그 지역의 지질층 나이를 나타내고 색이 칠해진 부분에 작은 기호가 보이는데 이 기호는 암석의 종류를 표기합니다.   그리고 제가 살고 있는 부산은 영남 메시프(단층 지괴) 지대라고 하셨습니다.   다음으로는 우주기자단이 ...
                            
                                                        - 지질과학에 대한 모든 것! 세계지질과학총회에 방문하다!기사                                        l20240901
- 들었습니다. 이 지하탐사 로봇은 KIGAM이 만들었고, 자율주행 이라고 합니다. 지하 레이더를 사용하여 땅속을 탐사 한다고 합니다. 지역에 따라 관측 할 수 잇는 심도가 다른데, 우주에서 뒤집히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사용을 못하는 것이 단점입니다. 마지막으로, 달탐사 로버에 대한 설명을 들엇습니다. 이 달탐사 로버는 세 가지 장비가 있는데요,   ...
                            
                                                        - 우리가 몰랐던 과학 사실들!기사                                        l20240831
- 부릅니다.   15. 하루에 지구는 10만 번 이상 번개에 맞는다: 지구에서는 매일 10만 번 이상의 번개가 발생합니다. 그 중 약 70%는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며, 번개는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16. 기린은 목구멍을 통해 들이키기 전, 혀로 음식을 ‘휩쓸어’ 먹는다: 기린의 혀는 약 45 ...
                            
                                                        - -부산 벡스코기사                                        l20240831
- 발자국이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먹이가 풍부했음을 생각할 수 있는데 대륙이 중국, 우리나라, 일본으로 나눠지기 전 우리나라의 남쪽 지역이 지금의 미시간 호수만큼이나 큰 호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다른 부스들도 보고 싶었지만 기차 시간 때문에 아쉬움을 뒤로 하고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허민 교수님은 한반도의 공룡과 다이노소어 어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강의를 듣고기사                                        l20240830
- 우주쓰레거도 매우 많아졌다.  우리나라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참가 했다. 다누리호에 영구음영지역카메라가 설치했다. 영구음영지역카메라는 얼음을 찾는 카메라라고 한다. 한화는 로켓에 필요한 모든 부품을 만든다고 한다. 여를 들어 로켓엔진등을 만든다고 한다. 지난번 나로호 우주센터에 가봤는데 거기서 로켓에 크게 "한화"라고 적혀 있어서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