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생태계"(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가 찾은 우리나라 생물 사진전기사 l20220929
- 생물표본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과정을 알게 되어서 좋았습니다.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 현장교육에 다녀온 후, 기후변화와 자연생태계 환경을 관심을 가지고 생활 속에서 만난 생명종을 탐사하고 탐사기록을 남기는 활동을 꾸준히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의 동, 식물들이 사라지지 않고 사람과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 ...
- 생태계 교란종의 대해서 알아보아요!!기사 l20220924
- 죽어가고 있습니다. 2.미국가제 세계자연보전연명(IUCN) 지정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갑각류 중 생태계교란종으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미국가제는 미국에서 관상용으로 들어왔는데,하천에 버려지면서 생테계교란종이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징그럽게 생겼네요... 3.왕우렁이. 왕우렁이는 1992년에는 친 ...
- 2022년 바이오 블리츠 -경기도 가평 국립 유명산 자연 휴양림 일대-기사 l20220829
- 찾아서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을 뜻하는데요. '생물다양성 탐사'를 목적으로 오늘의 자연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이 생태계 보전의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제1회 2010년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을 시작으로 2022년 제13회 2022년 국립 유명산 자연휴양림까지 바이오 블리츠 탐사를 이어오고 있는데, 이번 바이오 블리츠행사 ...
- 바이오 블리츠 행사에 참여 했어요.기사 l20220824
- 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에요. 지의류는 조류와 균류가 공동체를 이룬 식물 무리에요. 또한 기생이 아닌 공생을 함으로써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이제 지의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할께요. 제가 간 유명산 자연 휴양림에는 촛농 지의, 지네지의, 사슴지의가 있었어요. 그 중 지네지의가 가장 많았답니다. 지네지의의 정확한 이름은 검은배지네지 ...
- 기후변화를 알려주는 거미를 찾아서 - 지사탐 현장교육기사 l20220823
- 이야기, 서식지 관찰 등을 배울 수 있어서 재밌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하면서 기후변화로 우리 환경이 점점 따뜻해지면서 생태계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왜 기후변화지표종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거미는 우리 주변 환경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생물이예요. 사람에게 해를 입 ...
- 지사탐 10기 여름캠프에 다녀오다기사 l20220819
- 이어 잠자리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쳐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논에 엄청나게 많은 종류의 생물들이 살고 있어서 좀 놀랐고 좋은 생태계가 되어주는 논을 잘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천리포 수목원 미 개방지역 소리모아탐사 탐사 마지막 날 아침에 천리포 수목원 미 개방지역으로 소리모아 탐사를 하러 갔습니다. 살짝 피곤하긴 했지만 천리 ...
- [시민과학풀씨] 미끈망둑 프로젝트 현장교육 22.08.03~22.08.04기사 l20220811
- 형성하기도 하며, 조간대에서 조그만한 웅덩이를 형성하기도 합니다.그리고 많은 생물들은 이러한 용천수를 기반으로 각자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미끈망둑도 그 중 하나인 생물입니다.미끈망둑이 포함되어있는 미끈망둑속(genus Luciogobius)은 전 세계에 16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가는미끈망둑(L. elongatus), 큰미끈망둑(L. g ...
- 벌교 기수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기사 l20220728
- 때 강과 바다가 만나는 구간을 기수역(汽水域)이라고 합니다. 강과 바다가 만나기 때문에 바다의 염분이 강으로 유입이 되어 신기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번 기수역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위 어종은 '숭어'라는 어종입니다. 우리가 민물고기, 즉 담수어를 구분할 때 1차 담수어와 2차 담수어로 구분합니다. 1차 담수어는 ...
- 모기, 나쁘기만 할까?기사 l20220710
- 특히 미꾸라지는 하나가 장구벌레 1100마리를 잡아먹죠. 그러니, 저희가 없었으면 해양 생태계가 무너진다고요! 기자: 아, 모기들이 생태계에 큰 이로움을 끼치는 군요. ...
-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은 다른 생명체를 존중하지 말아야 할까기사 l20220701
- 우리들이 아니라, 모든 생명체들이 공존하는 공간입니다. 생명체 중 하나라도 사라진다면 지구에게는 큰 위험이 생길 것입니다. 생태계는 고리로 연결되어 있어, 한 종족이 멸종한다면 그들이 먹고 있었던 것도, 그들을 먹고 있었던것도, 줄줄이 피해를 입으니까요. 지구는 모든 생명체가 공존하는 공간입니다. 우리가 지배하는 것이 아닙니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