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올해 5월 말에는 국내에서 제2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P4G· Partnern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를 개최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회다.깨끗하고 안전한 지구를 아이들의 미래 세대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유리하다. 연구팀은 이 다이오드로 0.3THz의 주파수를 이용해 110m 떨어진 거리에서 115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테라헤르츠 무선통신으로는 100m 이상 거리에서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률을 기록한 성과였다. doi: 10.1038/s41566-020-0675-0 다만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진 ... ...
- [기획] 외계 행성의 생명체 지표, 포스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현상으로 만들어지긴 힘들어 보인다”라고 설명했어요.결국 금성의 대기에 포스핀이 20ppb의 농도를 유지하려면 금성 대기 속 생물체가 포스핀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야만 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돼요. 이덕환 교수는 “인(P)은 DNA와 RNA를 이루는 요소로, 탄소와 산소, 수소, 질소에 이어 생명체에 꼭 ... ...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끝낸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호가 남긴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67P의 핵을 둘러싼 가스와 태양의 플라즈마 입자가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낸 원자외선 오로라를 발견했지요.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은 지구의 오로라와 비슷하지만, 혜성은 자기장이 없어 오로라가 사방으로 퍼지는 ...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먹으면 먼저 장에서 녹농균을 소화시켜. 그런데 장에서 소화된 녹농균의 구성 물질 중 ‘P11’이라는 녹농균의 유전자 조각이 예쁜꼬마선충의 생식 세포로 침투하지. 침투한 P11 유전자 조각은 예쁜꼬마선충의 신경 세포에서 행동을 조절하는 ‘마코일린’이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방해해. ... ...
- [헬라세포] 그 불멸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8번 염색체에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의 유전자가 발견되었어요. 생물학자들은 헬라세포에 끼어든 이 바이러스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이 헬라세포의 p53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해 무한 증식을 가능케 한다고 추측했지요. 그래서 ...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32p)과학동아를 보고 화학에 대한 관심을 키운 중학생이 있었습니다. 그는 포스텍(POSTECH)에 진학해 화학도의 길을 걸었죠. 그런데 대학원 졸업을 앞두고 진로를 고민할 무렵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준비했던 작품이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 공모전에 덜컥 당선된 겁니다. 그 작품은 ... ...
- a-school 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받는 언어입니다. 프로세싱으로 설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웹사이트 ‘p5js.org’, ‘openprocessing.org’에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화면은 물리 교과서에서 배우는 공의 포물선 운동을 프로세싱으로 구현한 겁니다. 힘이나 운동 방향을 변화시킬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실험해볼 수 있죠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9 10개월, 지구는 쓰레기 천국(32p)☞바로가기전국에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10개월째 지속되며 마스크, 일회용 장갑, 포장 용기 등 쓰레기양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이탈리아에서만 매월 마스크 10억 개, 장갑 5억 개가 소비됐습니다. 전 세계 78억 ... ...
- 고생대 최강 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턱 힘으로 오른 ‘끝판왕’ 자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를 상상한 모습이다.백상아리보다 세 배 강한 턱 힘둔클레오스테우스가 속한 판피어류(Placoderms)는 척추동물 최초로 턱을 가졌다. 둔클레오스테우스의 강력한 턱 힘은 화석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둔클레오스테우스 두개골을 보면 턱에 근육과 인대가 연결됐던 흔적이 보인다. 2009년 필립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