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훼손"(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이번에 화제가 된 하늘소는 힘이 약해지거나 죽은 나무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산림을 훼손시키지 않아요. 또 전염병을 옮기거나 사람을 물지도 않는답니다. 우리나라에 사는 별별 하늘소이번에 화제가 된 하늘소 외에도, 우리나라에는 총 350종의 하늘소가 살아요. 몸길이는 3mm에서부터 12cm까지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연히 없어진 부분도 많다. 이 부분을 추정해 복원하거나, 훼손된 부분을 보수하려면 기준이 되는 척으로 가늠해 봐야 한다. 발견된 부재가 척에 맞지 않는다면, 없어지거나 교체된 부분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척은 정수인 경우가 많다. 1척, 2척, 5척, 10척, 50척 등과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재생 가능합니다. 비결은 줄기세포입니다. 근육세포나 골격세포를 줄기세포로 역분화 해 훼손된 조직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절단된 부분에 미분화된 줄기세포 덩어리가 생기고, 이것이 새로운 조직으로 분화합니다. 저라면 이것으로 손과 발을 재생시키는 데서 끝내지는 않을 겁니다. 유전자를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조에서 헤엄치는 ‘리틀 선피시’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붕괴된 후쿠시마 제1원전의 훼손 정도가 예상했던 것보다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7월 20일 일본 공영방송 NHK에 공개된 수중 영상을 보면 3호기의 원자로 아래에 있던 1차 격납용기(PCV) 구조물이 완전히 사라져 있다. 원자로에서 흘러나온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966년 석가탑에서는 글씨가 쓰인 채로 뭉쳐져 있던 종이 뭉치가 나왔다. 도굴로 인한 훼손으로 석가탑을 해체해 수리하던 중이었다. 전문가들이 2007년 종이 뭉치를 조심스럽게 떼어내 거기에 쓰여 있는 글자를 해석했더니, 고려시대에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과 석가탑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초기인 만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금속이라는 소재 자체의 장점과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게 관건이다. 예컨대 컬러합금은 첨가하는 원소에 따라 색상뿐만 아니라 강도 같은 기계적 특성이 함께 바뀐다. 이영국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금속 소재로 제품을 만드는 건 대부분 높은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어요. 500년 이상 왕조를 이끈 왕족의 무덤이 훼손 없이 보존된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조선 왕릉이 유일하다고 하니, 대단하죠!조선시대 왕이 죽으면 신하들은 왕이 머무를 왕릉을 만드는 데 정성을 다했어요. 좌우에 산맥과 물줄기가 감싸진 곳에 왕릉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봄 소식을 전하는히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잎이 나기도 전에 노란색 꽃이 먼저 피었어요! 이 꽃은 따뜻한 봄이 찾아왔다는 소식을 알리는 ‘히어리’예요. 히어리는 3월 말에서 4월 초, 8~12송이가 한 뭉 ... 국제적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답니다.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해 히어리의 서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지켜 주세요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배와 시설들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 방파제가 지어지면서 조간대 생태계가 훼손되고 있어요. 높은 곳까지 물살이 들어오던 곳에 더이상 파도가 치지 않고, 울퉁불퉁한 바위에 숨을 공간이 사라진 거예요.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최창근 교수는 사람들의 개발 사업으로 파괴되고 있는 해양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비 유명인이 관심을 끌기 위해 전파하는 반면 전파자의 명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유명인은 전파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루머는 쓰이는 언어도 달랐습니다. 은연중에 정보의 진위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표현한 사례가 많았죠. ‘어쩌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