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하나 누락됐다.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기호의 누락은 우주선에 잘못된 안내 신호를 전송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큰 꿈을 안고 올라간 탐사선은 작은 실수 하나로 산산이 조각나 낙하했다. 개발자들은 이 같은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자 했다. 덕분에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과연 배아줄기세포들이 스스로 건축가가 돼 장기들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다음 6월호에서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 ...
- [독자기고] 과학이 수월해지는 프로젝트, 과학잡지 만들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구하는 꿀팁 등 꼭 필요한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올 봄, 우여곡절 끝에 ‘남산과수원’ 1호가 나왔다. ‘세상의 중심은 문과일까? 이과일까?’라는 기사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이과가 각광받는 요즘, 문과의 필요성도 고민해보자는 내용으로 학생들의 이목을 끌었다. 물음에 대한 화끈한 답은 ... ...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NASA)의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기다리고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하야부사 2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시료를 채취해서 더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외계에 유기물이 풍부하다면, 첫 번째 생명이 외계에서 먼저 탄생했을 가능성은 없을까. 기원전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낙사고라스나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맛있는 냄새를 따라 숲길을 걷던 헨젤과 그레텔은 ‘아무나 와서 드시고 가세요’라는 팻말이 걸린 과자 집을 발견했어요. 며칠을 굶주렸던 둘은 과자를 마구 먹어 치우기 시작했죠 ... 시식 평을 남긴 메모를 건넸어요.‘★★★★★ #대박맛있음 #이구역디저트맛집 #동화마을1호미쉐린 ... ...
- [함풀문] 풀이 MVP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드립니다.지난 호에는 특별한 사연의 문제를 소개했습니다. 수학에 관심이 많은 한 변호사님이 본인이 낸 문제를 무려 25년 동안 고민했다고 해요. 그 과정에서 변형한 점화식이 오일러 공식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발견했다는데요. 이번에는 그 풀이를 소개합니다 ... ...
- 기어코 찾아올 죽음을 위한 궁리, ‘곱게 죽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원작자 진 로덴베리의 유골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콜롬비아 호에 실어 보냈다 다시 가지고 온 것이 처음이었죠. 최근엔 발사체를 만들어 우주에 쏘아올리는 민간 업체가 많아지면서, 우주장은 뉴스페이스 시대 새로운 장례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이 미국의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불규칙적으로 그려 있는 이 낙하산에 비밀 메시지가 숨겨져 있었던 것. 눈썰미(?)와 암호해독능력을 겸비한 누리꾼들에 의해 6시간 만에 밝혀진 이 비밀 메시지는 빨간색 한 칸은 1, 흰색 한 칸은 0에 해당하는 2진법 아스키(ASCII) 코드로 변환해 적은 ‘위대함에 도전하라(Dare mighty things)’란 말이었다.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메신저호와 수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표면으로 떨어졌어요. 마지막 순간까지도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냈지요. 수성엔 메신저 호가 충돌하며 만들어낸 크레이터*가 있답니다. 수성태양계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운 수성!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속도가 가장 빨라요.1초 동안 태양의 둘레를 47km만큼 돌지요.1초에 13km를 도는 목성, 29km를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