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거대한 구경을 가진 하나의 전파망원경처럼 작동이 가능하다. 이제 더 나은 관측을 위해 필요한 한 가지는 얼마나 빠르게 잘 관측할 수 있는가다. 이 부분은 관측 속도로 평가한다. 관측 속도는 배열된 개별망원경의 구경이 작을수록 즉, 분해능이 낮을수록 빨라진다. 개별망원경의 분해능은 전파 ...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물질입니다. 아직 발암 기작과의 완전한 인과 관계가 설명되지 않아 추가적인 입증이 필요한 단계라는 뜻이죠. 그런데도 ‘발암물질’로 낙인을 찍는 건 정보 전달의 비약으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관련 업계에도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물론 IARC의 리스트에 올랐다는 건 그 자체로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 ★★는 깊은 한숨을 쉬었다. “게다가 그런 사람들은 절실하지 않은 소원 같은 건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들이니까. 말이 통하지 않았어.”아리는 한 번도 정우와 정우의 몸을 빌린 ★★를 헷갈린 적이 없었다. 하지만 중요한 얘기를 마친 다음에도 바로 집으로 향하지 않고 호수를 두 바퀴 더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거리인 ‘평균 자유 거리’ 공식을 이용했다. 그리고 이 공식으로 사건이 벌어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투구 수를 구했다. 대략적인 수치를 이용해 구한 평균 자유 거리는 약 36000km로, 이 값을 투구 거리인 18.44m로 나누면 약 195만 2277로, 이만큼 던져야 때마침 그곳을 지나가는 새를 맞힐 사건이 ...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플라스틱 해양 쓰레기를 집 삼아 메고 다니는 집게의 사진은 심각한 해양 오염을 고발하는 모습으로, 인류가 지구 환경에 거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류세’를 상 ... 논문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집게의 진화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한 소셜 미디어가 될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필자소개윤재영.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ISD)에서 시각디자인 학사를, 카네기멜론대에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석사와 컴퓨테이셔널디자인(Computational Design)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풀 수 있지 않을까요? 그 답을 하기 위해선 작은 램지 수를 알아내기 위해 계산이 얼마나 필요한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R(4,5)=25을 컴퓨터로 증명하기 위해 점검해야할 경우의 수를 알아봅시다. 25명의 사람들 중에 2명을 묶는 가짓수가 (25×이고 그렇게 묶은 2명이 서로 아는 경우와 서로 모르는 경우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설명했다. 이어 “여러 신호들과 암흑물질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선 더 조용한 곳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 답이 바로 지하 1000m에 위치한 실험실이다. 암흑물질은 은하의 내부에 가득 차, 은하의 질량을 이루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물질로 다른 입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아 검출하기 어렵다. ... ...
- 영화를 DNA에 저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설명했습니다. 보관용 데이터를 DNA로 저장하면 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보관에 필요한 에너지도 줄일 수 있지요. 인류의 지식을 우주나 다른 행성으로 들고 가야 할 때도 DNA 저장 장치가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류태훈 대표는 “우주선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바로 직류 전기를 만들기 때문에 초고압직류송전 방식을 이용하면 전기를 따로 변환할 필요가 없어요.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초고압직류 송전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 공급하는 전기의 일부를 초고압직류송전으로 보내고 있어요. 앞으로 초고압직류송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