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몰락
잔해
유적
황폐
황량
d라이브러리
"
폐허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의 근접신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최초이다. 그러나 그 이후 천문학자들은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해 왔으며 결국 도시를
폐허
화시킬 충돌은 평균 5만년만에 한번 있으리라는 추측이 나왔다.그렇다면 아리조나 웅덩이 사건 이후 긴 시간이 지난 것이 된다. 말하자면 기간이 다 된 셈이다.물론 작은 행성을 파괴시키면 부수러기들이 아마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모양이다. 그래서 이 지역은 모든 면에서 저항운동의 거점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폐허
와 동굴뿐인 주변과 가로수가 늘어선 좁은 도로밖에 남아있지 않다.길은 이어 빈과 동호이 거리를 지나간다. 동호이는 베트남전쟁이 끝났을 때 깨어진 벽돌과 콘크리트더미 사이에 가톨릭성당의 정문만이 남아 ... ...
소련의 두개의 신성(神性) 레닌과 붉은 군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전쟁중 독일군은 자기들을 환영하는 우크라이나인들까지 참혹하게 대했다. 넓은 국토는
폐허
가 되다시피 했다. 스탈린그라드의 혈전, 정복된 베를린시내에 적기(赤旗)를 꼽고 있는 이름모를 병사의 이미지는 소련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새겨져 있다. 소련이 전쟁이 끝난뒤 동유럽과 발틱3국(최근 ... ...
고대인의 이동항로를 재현한「콘치키」호의 모험(전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세계는 전쟁의 화염이 채 가시지도 않았고
폐허
가 되어버린 유럽의 각 도시는 식량난과 불안, 공포, 등으로 모두가 엉망이 되어버린 생활을 꾸려나가고 있었다. 이 고통스럽던 시절, "토르헤이엘다르"라는 유달리 자연을 사랑하고 탐구력 강한 한 젊은이가 있었는데…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옛날 건물과는 어울리지 않는 건물이 하나 있다. 제2차세계대전 때 독일의 폭탄이 떨어져
폐허
가 되었던 곳에 1977년에 새로 지은 힐튼호텔이 그것이다. 호텔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13세기의 성채와 15세기의 수도원의 일부가 발견되어 지금 7층 호텔건물 옆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
산불의 냉각효과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주는 결과를 빚었다는 것이다. 소행성이 대양에 떨어졌다면 지상의 모든 해안선을
폐허
화한 해일을 가져왔을 것이라는 것이다. 또 지각을 뚫는 충돌이 있었다면 화산폭발과 같은 거대한 분출로 산불을 일으켰고 이 불은 지상의 많은 부분에 번져 나갔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해일과 산불이 ... ...
진주왕국「미키모토」의 전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있어 가장 어려운 도전은 적조현상이다. 적조가 엄습하면 진주양식장은
폐허
가 되기 쉽다. 1892년과 1905년에 미키모토양식장은 적조현상으로 수십만개의 조개가 죽어버렸다. 1905년 '미키모토'는 수십만개의 죽은 조개를 하나하나 손으로까기 시작했다. 조금이라도 뭔가 건져 보려고 한것인데 다행히 ... ...
가뭄과 폭염으로 산불 잦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있다. 산불이 자주 일어나 '와이오밍'주의 '옐로스톤'(yellow stone) 국립공원은 4만헥타르나
폐허
가 됐는데 이것은 역사상 최악의 사태라는것.또한 같은주에 있는 '그랜드 테톤'(Grand Teton)국립공원과 앨라스카의 여러 산림지대도 산불의 피해를 크게 보고 있다.한편 산불 경고때문에 국립공원에 피서왔던 ... ...
우주의 사연을 담은 편지 운석(隕石)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인디언도 운석을 신격화했던 모양이다. 그 증거를 들어보자. 미국 오하이주에는
폐허
가 된 인디언의 제단이 있는데 거기서 잘 모셔진 운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고대인들은 운석을 보물이나 신의 일종으로 숭배했을 것으로 생각된다.이러한 일은 고대뿐만아니라 근대에 ... ...
공포의 아프리카 메뚜기군단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꼽히는것은 거대한 메뚜기떼의 공격이다. 아프리카 메뚜기 군단은 한지역을 거의
폐허
로 만든다음 다음의 약탈지를 찾아 이동을 한다. 최근에는 모리타니아지역과 서부 사하라에서 맹약을 하던 메뚜기떼가 남주 모로코와 근처 북아프리카지역으로 침입을 시작했다.(지도 참조) 이 메뚜기떼는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