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철학자"(으)로 총 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999/1000겠죠. 가설2 여러분이 독도에 있을 확률은 1/2이에요. 2002년, 스웨덴 현대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가설1처럼 생각하는 게 이상하다고 여겼어요. 닉은 먼 미래에 과학자들이 두 우주론 중 어떤 것이 옳은지 탐구하는 모습을 상상했지요. 이때 우주론에 따라 우주에 몇 명의 사람들이 생겨나는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하더라도 분자식이 XYZ라면 물이 아닌 거죠.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이 물음은 20세기 철학자 힐러리 퍼트넘이 처음으로 제안했어요. 퍼트넘은 단어의 뜻이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어 ‘쌍둥이 지구’ 실험을 만들었지요. 이 질문은 세계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라는 질문은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어요.이 질문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사물이 물, 불, 흙, 공기의 4원소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고, 데모크리토스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어요.이후 2000년이 지난 1803년, 영국의 과학자 돌턴에 의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어떻게 된 걸까? 자세히 알아봐야겠어! 기원전 600년경,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탈레스는 장식용 보석인 호박을 털가죽으로 닦았어요. 그러자 털가죽에서 나온 가느다란 털과 먼지가 호박에 끌려가 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하지만 당시에는 이 현상이 무엇인지, 왜 일어나는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둘을 구별해 제대로 된 답을 할 수 있었을 거예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질문은 철학자들 사이에서 ‘몰리뉴의 문제’로 잘 알려져 있어요. 몰리뉴의 문제는 볼테르, 디드로, 아담 스미스 등 18세기의 학자들뿐만 아니라 마흐, 제임스, 헬름홀츠 등 19세기 학자들 사이에 큰 논란이 된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직역하자면 ‘운명을 사랑하라’는 말입니다. ‘망치를 든 철학자’라는 별명의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사용하면서 유명해졌지요. 니체는 자신의 글 ‘즐거운 지식’에서 이 말을 쓰며 삶에 대한 태도를 표현했습니다. 고통과 상실을 포함해 인간의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 ...
- ‘아름다운 밤이에요’ 밤이 품은 진풍경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밤에만 볼 수 있는 풍경에 매료된 사람들이 있습니다. 낮보다 밤에 활동하는 이들은 배트맨처럼 어두컴컴해지면 카메라를 들고 집을 나서지요. 어두 ... 지키는 세인트 폴 동상이 북극성을 꼬집고 있네요. 시라쿠사는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아르키메데스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지요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판자를 떼어내고 새로운 판자를 그 자리에 다시 박아 넣었지요. 여기서 고대 그리스의철학자‘ 플루타르코스’의 유명한 질문이 탄생했어요.“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었어도 여전히 테세우스의 배라고 할 수 있을까?” 가설1_여전히 같은 배다! 테세우스의 배가 낡아서 판자를 하나 바꾸어도,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그 둘레가 가장 작게 하려면 무슨 도형을 써야 할까?”이 문제는 기원전 36년 고대 로마 철학자인 마르쿠스 베로의 기록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정육각형이 답일 거라는 추측은 있었지만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어요. 그러다 1999년에 이르러서야 토마스 할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학과 교수에 의해 ... ...
- 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수학동아 l2018년 08호
- 17~18세기부터 철학적이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려는 경향이 시작됐습니다. 많은 철학자와 수학자가 기초를 잡아 놓자, 20세기 초반에는 앙리 푸앵카레와 같은 거물급 수학자가 나타납니다. 이들은 학문적 업적을 세우는 데 그치지 않고 학교를 설립하면서 인재양성에 힘씁니다. 그들이 세운 학교를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