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서서히 나빠지는 동안 오래도록 집안에 머무르던 난 결국 반납됐다.그리고 다시 33km 지점을 달리고 있다. 전체 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 마지막 레이스에서 내가 내린 결정이 당시 사용자의 무언가를 망가뜨렸고, 그것은 다시 내게도 영향을 미쳤음을 상기한다. 서서히 스트레스 레벨이 올라간다 ... ...
- 내가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상 조건 등 수많은 변수에 따라 최대 폭 20~70km, 길이 185~2000km 정도의 넓은 범위로 충돌 지점을 예측하죠. 우주위험연구실 유지웅 선임연구원은 “우주물체는 지구 어디에나 떨어질 수 있다”며,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충돌 예상 범위에 우리나라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특히 주의해서 ... ...
- [가상 인터뷰] 핵폭발이 일어나면 ‘방구석’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폭탄의 위력과 폭탄으로부터의 거리를 알면 구조물의 피해를 추정할 수 있어요. 핵폭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피해 구역을 고층 빌딩이 완전히 파괴되는 심각한 피해 구역(SDZ), 건물 콘크리트 구조에 손상을 입히는 중간 피해 구역(MDZ)으로 나눌 수 있죠. 중간 피해 구역의 경우, 콘크리트 ... ...
- [에디터 노트] Made in Korea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우리만의 강점이 있습니다. 과학동아만의 색깔이 뭘까, 그걸 어떻게 키울까, 늘 고민하는 지점입니다. 챗GPT처럼 똑똑하게 답을 내놓지는 못하지만, 좀 느리고 서툴러도 꾸준히 답을 찾아가겠습니다. 인간적 딥러닝을 위해 독자분들의 조언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과학동아가 어떻게 변했으면 ... ...
- [특집] 기업이 만들어낸 가짜 과학, 청부과학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무지를 생산했다(manufactured ignorance)”고 표현했다. 앞서 소개한 수프란의 논문도 같은 지점을 지적한다. 그 논문의 마지막 문장은 다음과 같다. “학계와 정부의 과학자들이 자신들이 아는 것을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지만, 엑슨모빌은 자신들이 아는 것을 부정하기 위해 ... ...
- 생성형 AI가 그린 그림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존 작가의 작품과 유사하다면 원저작권 침해인가? 사람들의 오해가 가장 많은 지점이다. 많은 사람이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결과물은 저작권 침해로부터 자유롭다고 여기고, 심지어 일부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작품을 가져다 AI 모델에 돌려서 결과물을 뽑아내면 문제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브래그 피크는 물질에 입사된 빔이 멈추기 직전, 대부분의 에너지를 내놓고 사라지는 지점이다. 기존의 X선 방사선 치료의 경우 몸속 암세포가 있는 부분에 X선 빔을 쬐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면 강한 에너지를 가진 X선 빔이 암세포를 파괴한다. 문제는 X선이 빔의 진행 경로에 있는 정상 세포도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사람들이 남아있게 된다. 결국 사람들은 업무 능력의 한계만큼, 즉 일을 가장 못하는 지점까지 승진하게 되고 회사는 위든 아래든 일을 못하는 사람들로 꽉꽉 채워진다. 이것이 피터의 법칙으로, 정량적으로 검증된 과학계의 법칙이라기보다는 경험적 진실과 냉소적 유머를 섞은 머피의 법칙에 더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신박한 제도까지. 오만 가지 상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졌지만, 결국 봉착한 지점은 하나였다.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 그래서 인간으로 태어나야만 한다. 설진은 이러한 몽상 속에서 천천히 잠에 빠져들었다. 마닐라 공항에 도착하니 오전 10시가 훌쩍 넘어 있었다. 하필이면 오늘 비행기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쉽습니다. 공이 시작된 위치는 동일하지만, 각기 다른 수많은 갈림길을 만나서 도달하는 지점은 천차만별입니다. 산에 2만 그루의 나무가 있다 해도 특정 공이 만나는 나무는 많지 않을 겁니다. 이 몇몇의 나무들이 바로 특정 세포에서만 활성화되는 유전자입니다. 그렇다면 배아(초기 수정란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