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텔리
지식층
지식계급
학자
지자
문화인
식자
d라이브러리
"
지식인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한다. “당신은 그것을 연구해본 적이 없지 않느냐.”20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서구에서
지식인
들이 점성술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자 현대 과학의 진보한 이론에 의해 점성술의 이치를 입증하려는 시도도 함께 나타났다. 1990년을 전후해 퍼시 시모어라는 천체 물리학자는 ‘점성술의 과학적 기초‘와 ... ...
인터넷 딜레마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편지로 교류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칸트도 그런 식으로 살았던 여러
지식인
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우리는 이 시대의 레오파르디처럼 살고 있다.그러나 인터넷으로 형성된 공동체는 어디까지나 가상의 공동체일 뿐이다. 사람을 만나지 않고 고립돼 살아가는 것. 이런 '대면적 관계의 ... ...
시대를 풍미한 만병통치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자신의 몰락을 재촉했다. 터무니 없는 폭리와 과장된 선전 활동이 대중의 반감과
지식인
의 분노를 부른 것이다. 특히 작가와 저널리스트들이 규탄 작업에 앞장섰는데, 미국의 경우 ‘레이디스 홈’ 잡지가 대표적이었다. 이 잡지는 ‘미국의 거대한 사기’라는 제목으로 특허매약의 허구성을 ... ...
2. 오감을 뛰어넘는 메시지 텔레파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들끓기 시작하자 일반
지식인
들은 심령현상을 좋게 보지 않았다. 그러나 몇몇 재능있는
지식인
들은 심령현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노력의 결과가 1882년 창립된 ‘심령연구협회’. 이 단체의 회원들은 당시의 심령현상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증거수집과 연구를 통해, 3년 후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후기에 수많은 농촌
지식인
들이 수리기술의 개발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조선의
지식인
과 관리들은 중국에 파견돼 발흥하고 있던 서양의 자연과학을 배웠다. 그 가운데 수리에 대한 학문, 즉 수리학(水利學)도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서명응(1716-1787)의 '본사'(本史), 박지원(1737-1805)의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면은 주로 우리의 생활문화였다. 아무 데나 침을 뱉고 목욕과 세탁을 자주 하지 않으며
지식인
이라도 자기의 자세는 지키나 상대방을 편안케 할 줄은 모르고……. 예술문화에서도 우리는 중국의 아류정도로 인정돼 왔다. 그러고 보면 우리는 예술 생활 정신문화면에서 인류문화 역사상 우위를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설명하려 시도한 시기였다. 전란의 와중에서도 중국은 제자백가사상을 꽃피웠고
지식인
들은 천하를 순유하며 보다 나은 인간 삶을 위한 새로운 제도, 철학을 발견하려 고민하고 있었다. 인도의 석가모니는 원시종교에서 벗어난 근대적 의미로의 종교개혁을 시도하던 시기였고 그리스인들은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뉴트리노' '유전자 암호' '지진관측에 대하여' '혜성과 운석' '과학기술 인명사전' '
지식인
을 위한 과학 입문' '블랙홀' '로봇시리즈'(SF) '파운데이션시리즈'(SF) 'ABA살인사건'(추리소설) '유머백과' '신화의 탐구' '프랑스의 역사'…….이 모든 저작은 오로지 아시모프 한 사람에 의해서 집필된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윤리 사회 심리 전반에 걸쳐 새로운 체계의 학문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결코
지식인
의 이해를 구하고 있지 않다. 그들의 목표는 보다 하부 구조에 있는 다수의 대중을 지향하는 것이다.이와같은 대표적인 인물들로 조지 아담스키, 클로드 보리롱, 빌리 마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더이상 진리의 포교자(布敎者)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이제
지식인
들의 말을 귀담아 듣지않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아무런 불편없이 살고 있으며 과학자들은 이들에게 무엇인가를 배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과학자는 일반대중이 지식에 대해 의문을 느끼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