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파수"(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더 높은 주파수 대역도 관측할 수 있게 건설할 계획이다. 변 책임연구원은 “주파수가 높아지면 분해능 또한 높아진다”며 “새로 건설할 KVN 전파망원경은 230GHz 대역까지 동시에 관측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해외 유수의 전파관측망과의 협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KVN은 2012년부터 일본, 중국과 ...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롱텀에볼루션(LTE)으로 불리는 4세대(4G) 통신의 경우 2.6GHz (기가헤르츠)가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이었지만, 5G는 3.5GHz뿐만 아니라 28GHz의 초고주파 대역도 사용한다.덕분에 4G에 비해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20배가량 빨라졌다. 2GB(기가바이트) 고화질 영상을 내려받는 데 1초면 충분하다. 문제는 전송 ... ...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간섭을 없애면서도 위성을 가까이 위치시키는 기술이다. 서로 다른 위성들이 비슷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내보내면서 발생하는 신호 간섭 문제는 위성 통신 서비스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데, 코로케이션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한 셈이다. SES를 유럽 위성 서비스 시장 1위로 만든 아스트라 1A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강한 중력장으로 주변의 빛이 왜곡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전파망원경의 분해능과 주파수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관측을 통해 EHT 프로젝트 팀은 M87*의 질량이 태양의 65억 배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 값은 35억~66억 배라는 최근의 연구 결과에도 들어맞는다. EHT 프로젝트 팀은 결과의 ... ...
- 버스 공공 와이파이로 BTS 뮤비 틀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외에 5GHz 대역의 주파수가 하나 더 있다. 주파수 대역을 2개 사용하는 원래 목적은 5GHz 주파수 신호를 보안용으로 쓰기 위함이다. 기존 와이파이는 신호가 암호와 돼있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접속할 경우 해킹 위험이 있다. 그래서 신호를 암호화 시킨 경로를 하나 더 마련했다. 이 경로는 모바일 ...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해 모음을 생성한다. 여기에 혀와 입술을 포함해 얼굴 전체의 근육이 움직이면서 공기의 주파수가 결정되고, 사람마다 각기 다른 목소리로 발음을 하게 된다. 인간이 침팬지와 분리된 약 600만 년 전부터 인간의 뇌와 발성 기관은 진화를 거듭했다. 직립보행으로 성도가 확보되고, 혀를 움직여 말을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 있는 방향이 좁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들은 관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주파수에만 적용되는 필터를 만들거나, 단일 방향에만 집중할 수 있는 음파 수집기 등을 만들 수 있다. 메타물질에 대한 기대가 커질수록, 관련 제품들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 날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 ...
- [과학뉴스]물고기도 ‘거울 테스트’ 통과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거울 속 반사된 모습을 자신으로 인식하는 능력을 가진 동물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 원숭이, 돌고래, 몇몇 조류뿐이다. 그런데 최근 물고기도 이 ‘거울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막스플랑크 조류연구소와 일본 오사카시립대 공동연구팀은 청줄청소놀 ... ...
- [과학뉴스]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소리만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모기와 10m 떨어진 위치에서 여러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고, 동시에 모기의 뇌 부분에 전극장치를 붙여 청각신경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집트숲모기는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는 “새로 개발한 투명전극은 전기 전도도가 커 스마트폰에서 주로 쓰는 1M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지문을 인식했다”며 “정전식 디스플레이용 지문인식센서를 개발하는 데 이 투명전극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직진하는 음파의 특성상 향후 휘어지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