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호
주최
스폰서
제공
d라이브러리
"
주창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 과학모임 총정보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과학의 날(4월21일)을 제정하면서 과학기술의 중용성을 강조하고 생활의 과학화를
주창
했다. 이러한 뜻은 당시에도 중요했지만 오늘날은 더욱 피부에 와닿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이제 과학기술의 발전없이는 선진국 진입은커녕 국제부대에서 살아남을 수조차 없을 지경에 이른 게 우리가 살아가는 이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설치해 놓을 수는 있다. 오히려 문제는 우주거울의 용도를 바로 찾는 것이다.우주거울
주창
자들은 배너와 이와 유사한 미래의 우주거울들이 그 유용성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한다.40kg짜리 배너의 실험기구를 운반하고 있는 프로그레스 우주선은 지난 해 10월 30일 미르우주정거장과 도킹을 했다.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설명하려는 현대판 신화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특별한 과학자 러브록 가이아이론의
주창
자 러브록은 평범한 과학자가 아니다. 특별하다는 뜻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만나는 현대의 다른 과학자들과 다르다는 의미다. 물론 그는 영국의 맨체스터 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했고 런던대학에서 ... ...
상온 핵융합, 기사회생할까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밖으로 멀어져 갔다.시험관 핵융합, 차가운 핵융합(cold fusion)이라고도 불린 상온핵융합의
주창
자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그들은 아직도 자신들의 주장을 번복하지 않고 있다. 상온핵융합이 분명히 일어난다고 확신하면서 프랑스의 비밀연구소에서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모습을 가진 대폭발이론의 탄생에 얽힌 이야기는 매우 재미있다. 이 이론의
주창
자는 아인슈타인(A. Einstein)과 당대의 유명한 수학자 드 지터(W. de Sitter). 이 이론이 학계에 처음 등장한 것은 1차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이른 1917년이었다. 이들이 처음 해낸 일이란 아 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을 충족시키려 했지만 그것은 또다른 문제를 낳았다.) 포퍼와 플랑크정상우주론의
주창
자들은 관측가능한 현상-물질의 연속적 생성-을 가정하고 있는 정상우주론이 빅뱅이론보다 훨씬 과학적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기들의 예측은 가까운 미래에 검증가능하다고 주장했다.몇 안되는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견해는 널리 확산되면서 표준모델 혹은 통일모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이론의
주창
자 중의 한 사람인 밀러(Joseph S.Miller) 박사(릭 천문대장)는 " 이 이론은 수많은 현상들을 설명하는 기준틀이 되었다. 동물원에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동물이 있다"고 말한다. 블랜드포드(Roger D. ... ...
(3) 안방에서 「비디오 도서관」 영화 빌려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가전(家電)에서 멀티미디어의 방향은 일본전기(NEC)에서
주창
하는 AVCC(Audio Video Computer Communication) 즉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통신의 통합' 한마디로 특징지울 수 있다.가전기기에 컴퓨터와 통신의 기능을 융합시켜 시간적 지역적인 거리감을 줄여나가며, 가전기기와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동에 쓰이리라고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이렇듯 과학적 이론이나 기기는 최초의
주창
자가 전혀 생각하지 못한 방향으로 발전되기도 한다"고 지난 4월 말 한국을 방문한 로러박사는 말한다.물론 원자를 떼내어 고리모양이나 IBM 문자를 만드는 것이 당장 우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은 ... ...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스티로폴 등 합성 고분자화합물이 있다. 1930년대 초반 스타우딩거가 '고분자설'을
주창
했으나 당시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다가 고분자화합물들이 쏟아져나오면서 산업적으로 크게 각광받게 되었다.수지(樹脂, resin)동식물이 분비하는 굳고 투명성이 있는 물질. 소나무에서 나오는 송진, 열대산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