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합"(으)로 총 2,1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쓰지 않은 얼굴 사진을 각각 30개씩 골라 참가자들에게 매력도를 평가받았다. 이를 종합해 매력도 높음, 중간, 낮음 세 그룹으로 나눴다.다음으로는 같은 사진에 마스크를 씌운 후 다시 한번 매력도를 평가받았다. 흥미롭게도 세 그룹 모두, 그리고 남녀 모두에서 마스크를 썼을 때 매력도가 높아졌다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충남대 물리학과 교수는 암흑물질의 조건을 위 네 가지로 요약했다. 관측결과를 종합해 계산하면 암흑물질은 우주 전체 질량-에너지 분포의 27%를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과학자들은 이 27%가 오늘날 우주의 모습을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차가운 암흑물질, 일반 물질, 암흑에너지로 현재 우주의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표준모형(ΛCDM·람다 차가운 암흑물질 모형)이라고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물을 종합해 계산하면 우주의 질량-에너지 분포에서 27%는 암흑물질이, 68%는 암흑 에너지가 차지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 물질은 단 5%에 불과하다. 수정뉴턴역학과 은하의 회전속도정체가 ... ...
-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1가정 1최애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지난 한 달간 안녕하셨나요? 저는 안녕 못했습니다. 3월 중순,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는 방탄소년단(BTS)의 단독콘서트가 3일간 열렸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로 2년 만에 국내에서 기자의 ‘최애’를 만날 기회였죠. 그런데 못 갔습니다. 이유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그래서 UN 인구국에서는 각 나라에서 수집된 인구 통계와 출산율, 사망률 등을 종합하여 현재 전 세계의 인구와 인구 변화를 추측합니다. UN 인구국은 2021년 세계인구가 78억 7496만 5732명을 돌파했고, 2023년에는 80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합니다.19세기에만 해도 10억 명가량이던 세계인구는 20세기 ... ...
- [핫이슈1] 치면 안타 되는 속도와 각도는? 한국형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네 번째 집합은 타구 속도가 156km/h일 때부터 홈런이 나오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이었어요. 타구 속도를 x축, 타구 각도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2018~2020년 기록을 이용해 집합별로 홈런과 플라이 아웃, 땅볼 아웃, 직선타 아웃을 점으로 찍었어요. 그런 뒤 홈런성 배럴 타구는 홈런 타구와 ... ...
- 한국 유일의 시추 시설, 동해 가스전의 불꽃이 꺼졌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다. 국제관계와 지질학 연구, 군사안보 등 다양한 영역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는 요소가 바로 화석연료다. 해외 유전개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산유국 지위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특히 중동 지역 산유국의 경우에는 비산유국과 자원 관련 산업을 진행하지 않는 경향이 ... ...
- 야생동물 구조 1만 데이터가 말해준 것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총 18가지 항목으로 구조 원인을 분류하고 있다. 지난 11년간의 통계를 종합하면 충돌과 미아 외에 덫, 농약, 총상, 낚시 쓰레기, 기생충 감염 등 다른 구조 원인은 각각 5% 미만이다. 하지만 언제든 그 비율과 수는 늘어날 수 있다. 실제로 기생충 감염은 최근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엔 전체의 2.8%,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용궁에 놀러 왔다가 갑자기 뱃속에 급한 일이 생겼어. 하지만 나, 과학마녀 일리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부력(?)을 이용해 빠르게 수면 위로 올라간다! ... 잘 발달해, 척추동물처럼 고통을 느끼고 지각 능력이 뛰어나다”며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해 결정한 방침”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기억은 정확하지 않다. 손실된 데이터는 필요할 경우 서로 다른 인공지능의 메모리를 종합적으로 비교해 복구한다. 개별적인 경험은 이런 과정으로 복구할 수 없다. 기억이 정말 가물가물해졌는지는 인공지능 본인밖에 모른다. 어쩌면 본인도 모른다.“너무 말을 많이 했나 보다. 이젠 네 얘기를 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