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승
평방
두제곱
이방승
이승
d라이브러리
"
제곱
"(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효율을 82% 까지 낼 수 있다. 연구단은 2021년 6월 최대 84% 효율로 1시간에 2Nm3(노르말 세
제곱
미터·1Nm3는 0℃·1기압에서 1m3)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1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도 개발해 1008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 전력으로 물을 ... ...
[가상인터뷰] 수학의 왕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순간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잘못 측정할 수도 있거든요. 예언가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최소
제곱
법은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 된다더군요. 취미가 ‘일기 쓰기’라면서요? 수학과 관련한 아이디어가 생각날 때마다 일기에 적고 있어요. 연구로 발표하기에는 완벽하지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말한다. 난자가 정자에 들어와 수정란이 만들어지면 체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가 2의
제곱
수로 분열한다. 수정 뒤 약 4일이 지나면 16~32세포기에 이른다. 이때 세포는 마치 뽕나무 열매(상실)처럼 모이게 된다. 이를 상실배라고 한다. 상실배는 가운데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아래쪽에 속세포덩이(inner ... ...
본부로부터 온 메시지 : 수학적 고민을 공유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여러 의견을 전해준 히어로들! 정말 고맙다. 단순 문제를 정확히 규정하고 막을 순 없지만 앞으로 포인트를 얻으려 의도적으로 성의 없는 문제를 내는 것 ... ‘모든 자연수는 9개 이하의 세
제곱
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고, 19개 이하의 네
제곱
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했습니다 ... ...
[기획] 현대로 이어지는 수학 명가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a-6이 됩니다. 그리고 각 정사각형의 넓이는 변의 길이를
제곱
한 값과 같으므로 아래와 같은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a2 + (a-6)2 = 486위 문제는 이차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일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법을 연구하고 다항방정식의 근사해를 구하는 법을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지수함수란 y=ax꼴의 함수로, 변수 x가 어떤 상수의 거듭
제곱
형태(지수)인 함수를 의미합니다. 페로몬의 증발처럼 시간에 따라 처음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나타내는 데 유용하죠.이때 ‘반감기’라는 개념은 페로몬의 특성을 설명하는 효과적인 ... ...
[매스포터] 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않습니다. 전개식으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십진수 2504를 10의 거듭
제곱
을 써서 나타내는 전개식으로 표현하면 2504=2X103+5X102+0X101+4X100입니다. 각 진법은 서로 다른 개수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십진법은 0~9까지 10개의 숫자를, 이진법은 0과 1의 2가지 숫자를 사용해서 수를 표현하죠.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 정리와 현재 우리가 쓰는 삼각함수와 비슷한 형태의 공식,
제곱
근에 대한 근삿값 등 매우 복잡한 식을 풀어야 했습니다. 3.141592까지 알아낸 조충지서양의 학자보다 먼저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맞힌 것은 중국의 수학자였습니다. 기원후 250년경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것은 √π를 자와 컴퍼스만으로 그릴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원의 넓이는 반지름을
제곱
한 값에 π를 곱한 값이므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π의 배수여야 합니다. 작도문제에서는 그리고자 하는 변의 길이가 유리수인 계수로만 이뤄진 유한 차수 방정식의 근인 ‘대수적 수’여야 합니다.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합해서 평균을 내면 차이가 음수일 경우 실제 오차보다 계산된 오차가 작을 수 있어
제곱
한 뒤 평균을 냅니다. AI는 1~3단계를 반복하며 손실함수의 값이 최소가 되는 가중치를 찾습니다. 무궁무진한 딥러닝의 세계! 앞서 설명한 퍼셉트론을 몇 개 연결하냐에 따라 딥러닝은 더욱 똑똑해질 수 있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