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본
사내
사나이
제책
정남
남자
대장부
d라이브러리
"
장정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64㎏짜리 태양측후소 아직도 가동중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파이어니오 6호는 65년 이후 지금까지 태양을 29번 돌았다. 거리로 따져 약 2백46억㎞의 대
장정
을 기록한 셈이다. 그동안 지구는 25번 태양을 돌았다. 파이어니오6호는 매우 값싼 우주여행을 했다. 이 우주선을 쏘아올리는데 든 비용은 65년 당시 가격으로 6백만 달러. 유지보수비용은 하나도 없으니까 ... ...
마취라 불리는 통증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일으키는 위험한 방법까지 동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효과적인 진통법이 없어 힘센
장정
들이 환지를 붙잡고 수술을 감행했던 때를 생각하면 몸서리쳐지고 한편 우스운 생각도 든다.마취가 비교적 과학적으로 이용된 것은 아산화질소와 에테르를 개발해내면서부터다. 사실 이 둘은 마취작용이 있음이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
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12년동안 우주개발의 대명사였던 보이저 계획이 막을 내렸다. 71억㎞를 달려 태양계를 탐사한 보이저는 무엇을 지구에 알려왔나.해왕성 탐사를 끝으로 12년의 '보이저 드라마'는 일단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 77년 우주여행을 시작한 보이저2호는 그동안 목성(79년) 토성(81년) 천왕성(86년) 해왕성(8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가격이 싼편이어서 화려한 대형전집류에 비해서는 부담이 덜하나 그대신 편집이나
장정
이 떨어지고, 내용도 책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 이런 책들은 세밀히 관찰을 한 뒤 구입해야 할듯.대형과학전집의 현황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대형의 과학전집류가 본격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 ...
표류중인 미제위성 회수한 것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그 계획에 의하면 위성은 새로 '아시아새트 1'이라고 이름붙여져 1989년 4월에 중공의
장정
3호 로킷(CZ-3)으로 발사된다.중공은 이를 계기로 홍콩과 영국의 기업과 대등하게 합병한 아시아새트사를 설립하여 우주 비지니스의 새로운 적극적인 진출을 기도하고 있다 ... ...
중공의 우주기지와 과학자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좋아하는 시골 국민학교 교장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그런 사람들이 개발한 로킷에는 '
장정
'(長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서방측 여러나라에서는 이것을 직역하여 '롱 마치'(long march)라고 부르지만 중공에서는 외국용어용으로
장정
(Chang Zheng)의 머릿글을 따서 CZ를 그이름으로 쓰고 있다. CZ-1은 ... ...
유인 우주비행을 목표로 한 중공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유인우주선, 즉 스페이스셔틀 연구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중공최대의 로킷 '
장정
3호'는 전장 43.2m 이승(離昇) 중량 2백2t이다. 제3단에는 액체수소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처음 발사된것은 1984년 1월 29일이었다. 이 액체수소엔진의 실용화는 일본보다도 빠르며 미국, ESA(유럽우주기구)에 이어 ... ...
신약자체개발을 목표 동아제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돈, 시간, 땀 그리고 집념 등 5박자가 맞아 떨어져야만 가능하다는 신약개발에의 대
장정
을 시작한 셈"이라고 말하면서 단순히 제약회사의 신약개발 차원을 넘어서는 국가적인 기술력 향상과 관련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신갈(민속촌입구)에 신축, 11월에 문을 여는 ... ...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도약시킬수 있는가의 시험무대가 바로 이곳인 셈이다. 아무튼 신약개발이라는 대
장정
을 시작한 셈인데 약품개발방향에 대해 김충섭소장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최근의 제제연구동향은 생체내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속성 제제 및 새로운 제형의 연구개발에 촛점이 맞춰지고 있으므로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계속하여 지난 1월24일, 드디어 천왕성에 도착했다. 지구에서 떠난지 8년6개월이란 대
장정
끝에 천왕성에까지 가게한 미국 과학기술진의 승리는 높이 평가하여야 할것이다. 보이저2호가 찍어 보낸 천왕성의 사진이 TV를 통해 보도 된것을 보고 한국사람들은 그리 크게 감명을 받지못한것 같다. 그만큼 ... ...
이전
6
7
8
9
1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