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라라~’하고 리듬 없이 운다.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건 수컷이다. 수컷 매미가
작은
몸집으로도 우렁차게 소리 낼 수 있는 비결은 몸속이 절반 이상 비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로 된 기타의 속이 비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타 줄을 튕기는 것처럼 매미는 양쪽 옆구리에 달린 진동막을 튕겨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임무다. STM은 뾰족한 탐침으로 마치 점자를 읽듯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는 장비다. 그중 ESR-STM은 단일 원자의 스핀 상태를 볼 수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STM의 각 부분을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5만 달러를 수여한다. 그 외에도 파피루스를 읽는 데 기여하는 참가자들을 위해 크고
작은
상이 마련돼 있다. 2023년 10월 12일, 5만 달러의 주인공이 발표됐다. 2000년 만에 파피루스 속 글자를 읽는 데 성공한 참가자는 미국의 컴퓨터공학도 루크 패리터다. 패리터는 현재 미국 네브래스카 링컨대에서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오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원리 - 부족한 전자를 공급하라 그렇다면 어떻게 크고
작은
부품에 얇은 금속층을 빈틈없이 씌울 수 있는 것일까. 도금에서 주로 쓰는 방법은 전해질에 녹아있는 금속 이온을 고체 금속으로 석출하는 방법이다.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구리가 녹은 전해질 용액을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시간에는 다누리 미니블록을 조립해 볼 거예요. 다누리 미니블록은 레고처럼
작은
조립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선 부품 중 가장 넓은 판을 꺼내 주세요. 바닥 역할을 할 판 위에, 다누리를 지탱할 기둥을 만들어 줍니다. 판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다누리 몸체를 조립할 차례예요. 안내도를 따라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추정했어요. 칼리야르프 운석은 기원전 1500년경 지금의 에스토니아에 떨어져 수많은
작은
파편을 만들어 냈지요. 연구를 이끈 베른 자연사박물관의 베다 호프만 지구과학국장은 “선사시대에는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철이 귀해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을 재료로 활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4컷 만화] 소음으로 조명을 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등하굣길 등 일상 곳곳에서 크고
작은
소음에 노출돼 있어요. 식당,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는 약 70~80dB(데시벨)이 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죠. 인도 라마이아연구소 전자통신학과 라젠드라 프라사드 교수팀은 이러한 소음을 전기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월 4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몇 가지 간단한 규칙만 지킨다면 어떤 식으로든 만들 수 있어요. 생물 분류의 가장
작은
단위인 속의 이름(속명)과 종의 이름(종소명)을 나란히 적고, 기존의 다른 학명과 겹치지 않도록 지어야 하죠. 이 규칙 덕분에 전 세계의 모든 생물은 각각 다른 학명을 갖게 되었어요. 학명은 종의 겉모습을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반지름이 약 1737km인 달보다 400배나 커요. 가로, 세로, 높이가 1cm인 주사위가 1~2층짜리
작은
건물을 하나 가리는 셈이에요. 이런 현상이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눈에서 보이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물체는 점점 작게 보입니다. 태양은 지구에서 약 1억 5000만km 떨어져 있어요. 1초에 지구를 7바퀴 넘게 돌 수 ... ...
[과학영상 읽어줌]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스윽.’ 누가 건드리지도 않았는데 조금씩 움직이는 이 돌…. 정말 살아있는 걸까?! 무서우니까 여기 와서 나 마이보와 함께 미스터리의 진 ... 압력을 갑자기 낮추면 옥수수 껍질을 뚫고 수증기가 방출되면서 팝콘이 만들어지지요.
작은
용기 속에서 뿜어져 나오는 팝콘을 감상해 보세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