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아"(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과학동아 l2005년 09호
- 하고자 하는 자아실현 욕구다.매슬로는 이 중 처음 네 가지를 ‘결핍동기’, 마지막의 자아실현 욕구를 ‘성장동기’라고 분류했다. 이런 욕구가 동기가 돼 어떤 행동이나 사고를 하게 되고, 그 결과 목적한 바를 이루면 욕구가 해소되고 동기도 사라진다.이런 일련의 과정은 고대에서 현대에 ...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따라서 공포감을 형성하는 신경회로를 심도있게 연구하면 우리 뇌가 어떻게 성격이나 자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얻게될 것이다.공포감은 필요에 의해 뇌가 만들어낸 것이고, 오랜 기간 뇌 속에 남아 우리의 정서와 성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렸을 적 할머니께서 ...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과학동아 l2005년 03호
- 설명했다.아직까지도 현대과학은 마음에 대한 대표적인 심리이론인 무의식이나 의식, 자아개념 등이 뇌의 어떤 부위에서 어떻게 작용해 생기는지 정확히 알아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뇌기능 연구는 과거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던 마음의 이론이 실제 뇌에서 어떻게 ...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있다. 인간 존재를 다시 생각하다진화론은 우리 몸을 바라보는 시선 뿐 아니라 개체와 자아, 지능 등에 대한 개념 자체를 흔들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 박사는 1976년 ‘이기적 유전자’를 출간해 그 서막을 울렸다.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이 책에서 그는 “개체는 ...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동시에 받았던 것이다.이런 경험은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낳았고, 경계에 놓인 자아에 대한 발견으로 이어졌다. 잡종론은 바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고민과, 그 안에 있는 끈질긴 생명력과 역동적인 힘에 대한 발견으로 이뤄진 셈이다.홍 교수는 최근 미니홈피 등 인터넷에서 ...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공간에서 만들어진 정체성은 일종의 이미지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 때문에 자기 맘대로 자아를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또다른 정체성을 만들기도 쉽다. 이것은 마치 벽에 비친 그림자가 사람 마음에 따라 새나 동물, 또는 괴물의 형상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심리효과를 유발한다. 물론 이런 ...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마니아층을 형성하면서 게이머들을 더욱 몰입시켰다. 게임 속 세상의 또다른 자아인 아바타에 깊숙이 빠져들면서 게임은 더이상 가상공간이 아니라 현실의 문제가 됐다. 아이템 거래와 구매를 둘러싼 각종 사건사고들은 게임을 불필요한 ‘악’으로 매도했다. 일부 정신병리학자들도 이에 편승해 ...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때마다 뇌의 미세한 구조가 조금씩 변하고, 이런 과정이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되면서 자아개발이 이뤄진다. 즉 인간은 일생 동안 신장이나 체중 같은 외형적 변화뿐만 아니라 경험과 학습을 통한 뇌의 변화도 겪는 것이다 ...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03년 07호
- 보여준다. 또한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나 ‘블레이드 러너’에서처럼 인공지능이 자아를 갖고 자기의 존재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인간과 갈등관계에 놓일 수도 있다.인터페이스 장치 없어야 가능가상현실이 영화 ‘매트릭스’에서처럼 현실세계와 구별이 안될 정도가 되려면 미래에는 ... ...
- 위기의 이공계, 과학교육으로 살린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미국에서 실시된 과학 진로교육이 소개됐다. 과학 진로교육은 과학의 각 단원 속에 자아인식, 진로인식, 직업이해 등 진로교육 개념이 통합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이 사회에서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과학수업 시간에 진로지도를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