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일
최고
첫째
수석
으뜸
우두머리
일위
d라이브러리
"
일등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황도에서 가장 북쪽에 있고 안타레스는 가장 남쪽에 있어, 황도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일등
성인 사자자리 레굴루스나 처녀자리 스피카보다 훨씬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황도의 이정표이면서 가장 높이 떠 있는 알데바란을 특별히 ‘사타브스’(Sataves, 별들의 지도자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남아있던 젖산이 마저 분해돼 혈중젖산농도가 낮아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금메달
일등
공신은 젖산?많은 사람들은 운동을 할 때 몸이 피로를 느끼는 이유를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분해되면서 생긴 젖산이 근육에 쌓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젖산이 근육의 조직 세포와 혈액을 산성화시켜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손가락, 승리의 V!어때? 2의 세계 재미있었니?”2는 활짝 웃으며 물었다. 1, 첫 번째,
일등
만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두 번째 수인 2가 이렇게나 다양하고 재미있는 수였다니! 정말 놀라운 경험이었다. 2가 이제 헤어져야 할 시간 이라고 말했다. 나는 무척 섭섭했다. 이런 나에게 2는 손가락 두 개를 펴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그 통로를 지나면 각 자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등
석을 차지하고 싶다면 빨리 와서
일등
석 좌석이랑 연결된 자동차 창고에 주차하면 될 것입니다.그리고 축구장 문제인데‘달의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으니까 높이는 6배를 늘려야 하고 넓이는 36배나 늘려야 하는데 그 넓은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분위기도 조성되고 있다. 이른바 ‘철도 르네상스’가 다시 찾아온다는 전망이다. 그
일등
공신은 속도기술의 혁신이다.속도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에 고속철도는 이미 필수불가결한 존재다. 2004년 4월 개통한 KTX는 2년 만에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 6000여만 명을 수송하며 국민생활을 획기적으로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제거하는 연미기술과 불량미를 제거하는 색체선별 기술 역시 완전미를 만들어내는
일등
공신 역할을 한다. 현미에 딱딱하게 층을 이루는 미강을 제거해 백미를 만들어도 표면에는 미분이 남아있다. 작물과학원 품질관리과 김덕수 박사는 “미분이 많으면 쌀의 품질과 맛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
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 ...
스위트 스팟과 짧은 스윙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했다. 한국 야구의 매운 맛, 그 비결을 과학으로 풀어보자.한국을 세계 4강으로 이끈
일등
공신은 이승엽(요미우리), 이종범(기아), 박찬호(샌디에이고) 선수. 이들은 WBC가 선정한 올스타팀에 뽑혔다.이승엽 선수는 0.333이라는 고감도 타율에 홈런 5개와 10타점을 올리며 홈런과 타점 1위에 올랐다.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씨 되십니까? 여기는 노머니 은행인데요. 축하 드립니다! 얼마 전에 응모하셨던 복권이
일등
으로 당첨 되셨습니다!”와〜! 아침에 있었던 찜찜한 사건은 복권 당첨의 액땜이었구나! 공수표 씨는 너무나 기쁜 나머지 옷도 입는 둥 마는 둥 하며 곧장 은행으로 달려갔다.은행장은 축하의 인사를 건네며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조립 도맡던 손재주꾼오우택 교수가 세계 최초로 캅사이신채널을 밝혀낸데 기여한
일등
공신은 무엇보다 ‘패치클램프’(patch clamp)라는 기술이다. 그가 패치클램프를 처음 접한 것은 1994년 미국 시카고의대 생리학교실에 교환교수로 갔을 때였다. 유리로 가늘고 긴 전극을 두 개 뽑아 세포에 대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