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있는 육각형이 대략 4개 미만이면 불이 숲 전체를 태우지 않는다. 반면 p가 0.6962 이상일 때는 불이 산 전체로 퍼진다. p가 1에 가까울수록 불이 더 빨리 번지고, 더 많은 나무가 불타 버린다. 다시 말해 불이 붙은 나무가 있는 육각형 주위의 모든 칸에 나무가 있다면, 산불은 산 전체로 빠르게 퍼지고 ... ...
-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전염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득이 생긴다. 하지만 마스크를 매일 쓰는 것은 비용이 드는 일이다. 마스크를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불편함 등을 감수해야 한다.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두 사람은 각각 어떤 선택을 내릴까? 아래와 같이 게임이론으로 분석했을 때 ... ...
- 좀비의 확산도 전염병 모형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했다. 이 모형에선 길들인 좀비가 탈출할 확률, 야생 좀비를 길들일 확률을 추가로 고려했다. 야생 좀비는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돼 인간을 공격하는 좀비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좀비를 말한다. 길들인 좀비는 야생 좀비와 똑같이 인간을 공격하려는 좀비의 습성은 가지고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선거는 두 거대 정당이 대결하는 형태다. 그래서 연구팀은 선거 예측 모형에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가 두 종류라고 가정했다. 즉 민주당(D)과 공화당(R), 그리고 취약군에 해당하는 부동층(U)이 상호 작용하며 판세가 변화하는 것이다. 이때 특정 정당 지지자는 부동층을 설득할 수 있지만, ...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BCI 기술의 네 가지 전망 지금까지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劁rain-Computer Interface) 기술 발전 과정을 바탕으로 미래의 BCI 기술이 나아갈 방향을 네 가지 정도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첫 ... 연구를 시작한 연구자들이 있다. BCI 기술의 사회적 파급 효과를 생각했을 때 무척 다행한 일이다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힘(상호작용)’이라고 부른다.표준모형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 “표준모형과 일반 상대성 이론은 현재 자연을 가장 근본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체계이자, 실험을 통해 완벽히 검증된 이론입니다.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 설명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고, 여러 면에서 불완전합니다. 표준모형은 ... ...
-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혈당 관리 방법은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췌도 내 베타세포를 혹사하지 않기 위해서도 혈 ... 베타세포가 여러 번 일을 하게 만들고 쉽게 피로하게 합니다. 간식을 자주 먹는 것보단 일정 시간에 식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수학은 평화지킴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x < y와 a < b일 경우 Y군이 승리한다. 한편 x > y와 a < b일 경우나 x < y와 a > b일 경우 b/a의 비율이 y/x의 비율 제곱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승리하는 쪽이 결정된다. 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천만 영화인 ‘7번 방의 선물’과 ‘국제시장’이 56%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2011년 일본 응용수학자 이시이 아키라는 입소문이 영화 흥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학적으로 밝혔다. 배우의 전성기도 예측 데뷔하자마자 인기를 얻고 승승장구하는 배우가 있는 반면 오랜 무명 시절을 겪는 ...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16년간 총리로 재임한 앙겔라 메르켈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메르켈이 총리가 된 이후, 독일 정치는 정책 토론의 장으로써 더 나은 기능을 하게 됐죠. 그런 정치를 하고 싶습니다. 여러 당적을 가진 다양한 과학계 출신 정치인들과 힘을 모아 협치하고 싶습니다.비례가 아닌 지역구 의원 후보로 나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