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최후의 승자는? 인류 vs 모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최후의 승자는? 인류 vs 모기Part1. 불임 모기로 퇴치?Part2. 킬 스위치로 박멸?!Part3.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Part4. 박멸이 답일까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토착화하는 질병이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박멸 vs 공생, 정답은? 인류는 온갖 과학적 방법을 동원해 모기 개체수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어요.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려는 과학자들은 모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피해를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 ...
- 주스,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스는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목성을 올려다보며 생명의 기원에 대해 궁금해했던 인류의 꿈을 담고 있다”며, “주스가 보내올 데이터는 과학계가 목성계의 신비를 밝히고, 다른 세계에 있는 바다의 특성을 탐구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주현 박사 ... ...
- 경제 불안정, 민주주의 위기 같은 주제를 수학자가 생각보다 많이 연구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통해 알리고, 이런 연구를 하고 싶은 수학자나 역사학자를 독려하려고 합니다. 인류를 위한 수학 프로젝트의 1차 제안서를 지난 6월 초까지 받아 지원할 12개 연구팀을 뽑았습니다. 홍수 예측 수학 모형 개발, 투표의 수학, 고대 수학사 연구 등 그 주제가 매우 다양합니다. 오는 12월 11일까지 2차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통합적 STEM 능력이 가장 위력적으로 발휘되는 분야 중 하나도 우주다. 머지않은 미래에 인류가 우주 공간에 거주하기 위해서 펼치는 모든 사업에 STEM은 필수 불가결하다. 이 때문에 많은 우주 기업에서는 STEM 교육을 확산하고 우주 산업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를 넓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 4월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을 위한 자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떠올라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차분한 분위기라면, 조금 시간이 걸릴지라도, 한국도 “인류에게 큰 공헌을 한 사람”을 배출할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특히 올해 노벨상처럼 앞으로의 노벨상도 상용화가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면 기초과학 응용 연구에 관심이 많은 한국에게 기회는 더 많을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전문가와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뿐만 아니라, 주요 저널에서 논문 게재까지 거절당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인류를 팬데믹에서 구할 백신의 주요 원리를 개발했다. 대기만성의 감동적인 스토리 이면에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몇 가지 지점들이 있다. 이번 수상은 남들이 보기엔 비전이 없는 분야지만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기사의 헤드라인을 매닝에게 천천히 읽어 주었다. 땅에 떨어진 도덕…… 인류와 비인류 간의 사랑은 가능한가…… 생존이냐 존엄이냐…… “그러니까, 이 기록자가 말하는 ‘인간’이란 건 이 행성에서 살던 종의 극히 일부였나 보지. ‘이종’ 번식은 가능했던 걸 보아하니.” 매닝이 말했다.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나친 환상이나 긍정적 인식 속에서 과학자의 정체성을 낭만적으로 간직하기보단, 인류사에서 과학이 갖는 의미를 좀 더 숙고하시길 권하고 싶습니다.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가 독자들에게 충격을 줬던 것처럼, 과학이란 ‘패러다임’도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