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d라이브러리
"
이빨
"(으)로 총 523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사는 모든 어류 중 가장 큰 고래상어는 거대한 턱에 평균 3000여 개의
이빨
이 박혀 있다.
이빨
하나의 크기는 1mm도 안 될 정도로 매우 작은 데, 먹이를 먹을 때 사용하지 않아 퇴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는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크게 벌린 채 앞으로 나아갈 뿐이다. 그러면 앞에 있던 플랑크톤과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해야 하기 때문에 남극 바다를 수영하다가 해빙의 두께가 얇은 곳을 골라 날카로운
이빨
로 숨구멍을 뚫는 재주를 갖고 있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 | 남극은 대륙 전체 면적의 98%가 얼음으로 덮여 있어요. 겨울에 얼음층이 두꺼워졌다가 여름에 다시 녹는 것을 반복하며, 다양한 모습을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장식장엔 초등학생 시절부터 모았다는 곤충 표본과 직접 구입한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
화석 등이 있었어요. 왜 화석을 샀냐는 질문에 작가는 “티라노사우루스는 미국에 살았기 때문에 직접 화석을 캐러 갈 수 없었다”고 답했지요. 고생물학과 곤충, 우주에 대한 이같은 ‘덕심’은 작가의 만화로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혓바닥이 삐죽삐죽 ,기수갈고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긁어내지요.
이빨
과 혀를 뜻하는 치설(齒舌)은 혀처럼 생긴 기다란 근육에 톱니 모양의
이빨
이 촘촘히 박힌 형태예요. 치설로 잘게 쪼갠 먹이는 치설 근육을 움직여 입안으로 옮겨서 삼킨답니다.문제는 기수 지역이 오염물질 등으로 서식 환경이 쉽게 바뀐다는 점이에요. 특히나 기수갈고둥은 깨끗한 ... ...
초롱아귀의 고향, 트와일라잇 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트와일라잇 존의 생물은 재미나게 생겼어요. 먹이가 드물어 초롱아귀처럼 입이 크고
이빨
이 날카로운 어류가 많아요. 자기보다 큰 몸집도 잡아먹고 한번 물면 놓치지 않지요. 영국 시민단체 ‘못생긴동물보전협회’의 마스코트인 블롭피쉬도 이곳에 살아요. 몸에 물이 가득해 높은 수압에서도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또 뾰족한 가시가 있기 때문에 억지로 떼어내려 하면 살점이 긁힌다고 했다. 날카로운
이빨
로 공격한다는 피라냐보다 더 독한 녀석이었다. 무서운 설명을 듣고 있는데 마침 가장 강한 독을 지녔다는 ‘브라질 떠돌이 거미’가 지나갔다. 역시 아마존이었다. 하지만 자연과 하나가 된다면 그 ... ...
[수학뉴스] 상어 피부비늘의 비밀, 튜링의 방정식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수학자 앨런 튜링이 66년 전 발표한 방정식으로 상어 피부비늘의
이빨
모양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렛 프레이저 영국 셰필드대학교 동식물학과 교수팀은 상어의 비늘 생성 과정이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따른다는 것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시조새는 새가 아니다. 시조새는 조익류(Avialae)에 포함된다. 마니랍토라류 중에서 아래턱
이빨
이 20개 이하인 무리다. 새도 여기에 포함된다. 하지만 정강이뼈와 허벅지뼈가 하나로 합쳐진 경족근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조새와 구분된다. 시조새는 새의 조상이 아닌 새의 친척이라고 보면 된다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오이를 함께 제공해 주는 것도 좋답니다. 갑자기 토끼가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이빨
과 관련된 질병일 가능성이 높아요. 이런 증세를 보일 경우 빠른 시일 내에 수의사를 찾아가 진단을 받아야 해요. 토끼는 많은 시간을 먹이를 먹는 데 써요. 심지어 배변활동을 할 때나 배변활동을 하기 직전까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등 여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어요. 주로 10m 안팎의 짧은 거리에서 쓰이지요. ‘푸른
이빨
’이라는 뜻의 블루투스는 10세기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 ‘하랄 블로탄’에서 이름을 따 왔어요. 블루투스는 그의 별명이었는데, 블루베리를 좋아해 치아가 항상 어둡게 물들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