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구
영겁
무한
영원무궁
무궁
항구
구원
d라이브러리
"
영원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미모와 젊음은 시들어도 다이아몬드는
영원
히 빛을 발하네. 내 친구는 다이아몬드뿐~. 티파니! 까르띠에!”파리 환락가의 한 여가수와 젊은 극작가의 사랑을 그린 ... 문제일 뿐. 완벽한 아름다움을 택하든, 지구가 선물한 자연미를 택하든 다이아몬드는 여전히
영원
한 사랑의 대명사다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보살피는 모습을 보면 존경심까지 든다.”안드레이는 개미와 자신이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원
한 친구라고 소개해요. 그래서 작품에도 ‘안트레이’라고 사인을 하지요. 자신의 이름과 발음이 비슷하고 개미를 뜻하는 영어 단어(ant)를 활용했지요.안드레이의 전시회를 찾아간 방문객들은 작품을 본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다양한 분야에서 퍼지 이론이 쓰이고 있다.결국 지킬 박사는 사랑하는 사람과
영원
히 헤어지는 운명을 맞이한다. 인간의 힘으로 ‘선과 악’을 완전히 분리하겠다는 오만함 때문이었을까? 진실만을 완벽히 가려내기 위해 달려온 수학자들의 노력도 물거품이 됐다. 하지만 지킬 박사와 달리 수학자는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물체나 지상의 물체나 완전히 같은 방식으로 움직인다는 걸 증명해 낸 것이다. 천체를
영원
히 밀고 가는 천사는 더 이상 필요치 않았다. 아니, 이제 천상의 물체뿐 아니라, 지상의 모든 물체도 한 천사가 똑같이 밀고 있어야 했다. 그 천사의 이름은 ‘뉴턴의 보편중력’이다.중력은 물리학자가 알고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것도 확인했습니다. 이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류도 마찬가지입니다.“사랑이
영원
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대한 제 대답은 “YES”입니다. 제가 만난, 저희 실험에 참가해서 오랫동안 낭만적인 사랑을 유지한 참가자들은 지금도 연인을 보면 기분이 좋아진다고 합니다. 그들은 연인과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건 시간문제다. 창을 뚫을 무기는 언제나 새로 개발되는 것처럼. 다만 시간이 관건이다.
영원
한 비밀은 없지만 오래 버티는 비밀은 가능하다. 전쟁터에서 적지를 공격하기 위해 보내는 암호는 공격이 이뤄지기 전까지만 풀리지 않으면 된다. 결국 암호는 풀리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할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앞뒤로 흔들면서 승리의 신호를 보내요. 일종의 승리 행동인 셈이죠. 한 번 승자는
영원
한 승자!경쟁에서 한 번 승자가 되면 다음 경쟁에서도 이길 확률이 높아요. 반면 경쟁에서 패하면 다음 경쟁도 패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 현상을 ‘승자-패자 효과’라고 해요.승자는 경쟁 후에 더욱 자신감이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5만 명이라는 예측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더 잘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한 번 김씨는
영원
한 김씨김범준 성균관대 교수는 인구 수와 성씨 수 사이의 관계도 연구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인구가 늘면 성씨 수도 비례해 늘어난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우리나라는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반면 땅 위의 물체는 힘을 주지 않으면 반드시 멈춘다고 봤습니다. 불완전한 땅에선
영원
한 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물체가 땅으로 떨어지는 건 원래 있던 장소로 돌아가려는 성질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과는 원래 땅에서 온 것이니 다시 땅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죠. 지금 들으면 다소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사원과 29개의 요새, 94개의 커다란 문이 있었을 정도로 찬란한 도시였다고 합니다.그러나
영원
할 것 같았던 이 도시는 버마(지금의 미얀마)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됐고, 200년이 넘게 정글 속에 있다가 유네스코 발굴 작업에 의해 비로소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비록 지금은 처참히 부서진 모습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