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밀도"(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한 것은 계획적일까, 우연일까. 우주 탄생 초기에 물질과 반물질이 미묘한 비대칭을 이뤄 오늘날의 우주가 형성된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다중우주(Multiverse) 이론은 이 모든 것이 우연이라고 설명하는 이론이다. 다중우주 이론은 우리가 살아가는 우주 외에도 무수히 많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외계생명체는 존재할까. 이 질문에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아마도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우주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광활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코스모스’의 저자로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이렇게 말했을까. “이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 ...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주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졌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질문에 원자를 떠올릴 것이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나뉘고, 원자핵은 다시 중성자와 양성자로 나뉜다. 그리고 과학에 좀 더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 단계 더 들어가 표준모형의 소립자들로 설명을 이어간다. 쿼크, 렙톤 같은 소립자 ... ...
- 질서┃우주 동결과학동아 l2019년 07호
- 1998년 발표된 Ⅰa형 초신성 관측 결과는 우주를 바라보는 데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솔 펄머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와 브라이언 슈밋 호주국립대 교수는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보다 초신성이 훨씬 빠른 속도로 멀어져 가는 것을 알게 됐다. 이를 토대로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가장 처음의, 그리고 가장 간단한 무언가는 언제나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원소, 그중에서도 현재까지 발견된 118개 원소 중 원자번호 1번을 차지하고 있는 수소 역시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세상을 바꾼 원소’로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수소 발견, ...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스마트폰 배터리의 설계 수명은 2년입니다. 하지만 실제 수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배터리를 평가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이용민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스마트폰과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전 세계의 기대를 모은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4월 24일 국내에서 최초로 개봉했다. 전작인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타노스는 인피니티 스톤의 힘을 이용해 우주 생명체의 절반을 없애버렸다. 이로 인해 스파이더맨, 닥터 스트레인지, 블랙 팬서, 스타로드 등 많은 히어로들이 소멸했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상과학(SF) 영화에 너무 자주 등장해서일까. ‘투명망토’ ‘투명우주선’의 핵심 소재인 메타물질은 과학에 관심 좀 있다는 사람에겐 꽤 익숙한 물질이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음의 굴절률을 가진 물질이 빛을 휘돌아나가게 한다’는 그럴듯한 설명도 있다. 하지만 메타물질은 여러분이 생각하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료 1g으로 석유 8t(톤)을 태워 만들어내는 전기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을까. 스스로 빛과 열에너지를 만드는 태양이라면 가능하다. 강한 중력이 작용하고 뜨거운 태양 중심부에서는 태양을 구성하는 수소 원자핵이 융합한다. 과학자들은 이를 핵융합이라고 부른다. 태양에서만 가 ... ...
- [과학뉴스] 나방의 가슴 털, 스텔스 기술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부분의 나방은 소리를 듣지 못한다. 그 대신 ‘가슴 털’로 천적인 박쥐를 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토마스 닐 영국 브리스톨대 생명과학과 연구원팀은 나방의 가슴 털이 음향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박쥐의 포식 대상인 나방 두 종과 박쥐가 먹지 않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