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형식
식품
스타일
음식
방식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양식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벅찰 정도였으니까요. 생물사육동 맞은편에는 또 다른 건물이 있어요. 이곳은 ‘뱀장어
양식
동’이에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민물장어인뱀장어를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곳이지요.국립수산과학원은 뱀장어를 인공수정해서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더 빠르고 건강하게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동시에 쓸 수도 있습니다. 정전으로 들어가는 바깥문인 외삼문에서는 주심포와 다포
양식
이 혼합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익공식을 독자적으로 개발했습니다. 익공식은 새의 날개를 닮은 나무 조각인 ‘익공’을 기둥 사이를 잇는 창방과 수직으로 연결하는 ... ...
[News & Issue]GM연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만들어지게 한 것이죠.제조사인 미국의 바이오 기업 ‘아쿠아바운티’는 GM연어를
양식
장 안에만 가두고, 생식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생태계 교란을 예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환경단체에서는 GM연어가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도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부서지면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KIOST가 조사한 미세플라스틱 중 95%가 발포스티렌이었다.
양식
에 가장 많이 쓰이는 60L 부표가 분해되면 직경 5mm의 미세플라스틱 400만 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해양수산부에서는 2015년부터 기존 부표에 비해 잘 부스러지지 않는 친환경부표를 연간 약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자랑하는 바다생물로 유명해요. 주로 조개를 잡아먹는데, 이 때문에 홍합이나 조개
양식
을 하는 어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기도 해요. 고둥 역시 불가사리에게 좋은 먹이가 되지요. 하지만 고둥 중에서도 몸집이 큰 나팔고둥만은 예외예요. 나팔고둥은 다 자라면 길이가 30cm에 달할 정도로 커져요.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알아냈지요. 이는 아주 작은 생물이라고만 생각한 플랑크톤이 매우 다양한 모습과 생활
양식
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답니다.탄생, 해양 생물은 플랑크톤으로 태어난다전세계 바다 어디를 가도 플랑크톤은 항상 있었어. 생물이 잘 살지 못하는 남극 바다에서도 플랑크톤이 발견됐지. 100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정말 잘 했어!음향렌즈로 초음파 빔을 쏘는 돌고래그런데 삼팔이는 어떻게 가두리
양식
장을 탈출할 수 있었을까요? 삼팔이가 탈출한 구멍은 고작 지름 30cm 정도예요. 가두리는 직경이 30m이고 깊이는 7m나 돼요. 바다 속에서는 수m만 내려가도 앞이 잘 보이지 않아요. 즉, 가두리 바닥에 있는 이 작은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MIT) 스티븐 핑커 교수의 저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 따르면, 농경 이전의 생활
양식
인 수렵, 채집을 하던 시대의 사망자 가운데 폭력에 의해 죽임을 당한 비율은 60%에 달했다. 이 수치는 20세기 유럽으로 오면 1% 수준으로 낮아진다. 핑커 교수는 국가와 정부 등 합법적 폭력(처벌)을 행사할 수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아직까지 몬테 베르데 이외의 지역에서 비슷한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클로비스
양식
이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서 고루 발견되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배를 이용해 태평양 위에서부터 조금씩 내려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보다 급진적인 학자들은 아예 유럽인이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고된 노동에 시달리다가 숨을 거뒀다. 그러고 보니 기143지로 들어오는 입구에서 익숙한
양식
의 석불좌상을 본 기억이 났다. 최 연구원은 “이 기지는 애초에 리조트였는데, 이를 지은 한국인 사업가가 한국인 희생자들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위령비”라고 설명했다. 이석은 양(청심국제고 3)은 “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