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수"(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많은 사람에게 나눠주는 방법, 시계의 초침ㆍ분침ㆍ시침이 돌면서 만날 때마다 드러나는 약수와 배수의 관계, 크기가 달라 3000원에 4개와 7개인 복숭아 중 어느 것이 더 경제적인지, 음료수를 담는 용기가 원기둥인 이유, 우리나라에 2000원짜리 화폐가 없는 이유 등이다.수학은 한 번 잘못 알거나 ... ...
- 집합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해하기 위한 기초개념들을 알게 모르게 배우고 있죠. 특히 수의 개념, 짝수와 홀수, 약수와 배수의 관련 개념이 중요합니다. 중학교 1학년 첫 단원에서 배우는 ‘집합’은 그다음에 등장하는 많은 단원에서 이를 이용한 문제를 풀 수 있게 해줘요. 특히 ‘함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죠. 함수 ...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선수가 6명이고, 두 팀을 합하면 12명이다. 6은 약수가 1, 2, 3, 6으로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인 1, 2, 3을 더하면 자신과 같은 6이 된다. 이런 수를 완전수라고 하는데, 6은 가장 작은 완전수다. 두 번째 완전수는 28이다. 아시안게임 같은 국제배구대회에서 각 나라의 선수 수는 후보를 포함해 총 12명으로 ...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들 지방산 분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이번에는 분자를 이루는 탄소의 개수가 2를 공약수로 갖는다. 세포 안에서 지방산을만들 때 탄소 2개로 이뤄진 ‘아세틸기’를 단위로 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레이산은 탄소 몇 개로 이뤄져 있나?”라는 객관식 문제가 나왔을 때 홀수(예를 들어 17개)는 ...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수학동아 l2010년 12호
- ‘3과 4의 최소공배수를 찾아라’는 문구가 나오자 조는 바로 12라고 입력했다. 10의 약수를 찾는 문제도 쉽게 풀었다. 게임을 마치자 ‘훌륭해요’라는 표시와 함께 높은 점수가 나왔다.수학을 잘하는 조에게 꿈을 물었더니 헤어 디자이너다. 대학은 안 갈 거라고 한다. 대학보다 꿈이 먼저라는 ...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때문이다. 소수는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인 수라서 소수를 포함한 두 수의 최소공배수는 약수가 많은 수보다 최소공배수가 커진다. 교잡의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그 교잡의 시기가 자주 돌아올수록 매미에게 위기가 온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17은 매미가 살아남을 수 있는 특별한 숫자다.이처럼 1 ...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합이 전부 같아지도록 하는 마방진이라든지, 6=1+2+3처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정수인 완전수라든지, 가드너는 심오한 수학보다는 흥미롭고 매력적인 수학을 등장시켰다. 수학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도 가드너의 유희 수학이라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예를들어, 6을 제외한 양의 약수 1, 2, 3을 더하면 6이 되므로 6은 완전수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유클리드는 메르센 소수 하나에 완전수 하나가 대응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메르센소수가 무한한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10은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하면 약수가 2와 5뿐이다. 그러나 60은 1과 자신을 제외하고도 약수가 2, 3, 4, 5, 6, 10, 12, 15, 20, 30으로 매우 많다. 따라서 물건을 나눌 때나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사람을 나눠 배치할 때 10보다 훨씬 다루기 쉽다. 곱셈과 나눗셈은 인도-아라비아 숫자가 널리 쓰이기 전까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약수가 많은 수다. 한 자리 숫자 중에서 7을 제외하면 1, 2, 3, 4, 5, 6, 8, 9 등 모든 수가 360의 약수다. 덕분에 케이크를 나눠먹을 때 필요한 각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4명이면 90°, 6명이면 60°, 8명이어도 45°로 딱 떨어진다. 만약 원의 각도가 100°도였다면 각도 계산이 여간 복잡한 게 아니다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