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업"(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학생들을 만났다. 주말마다 전국의 도서벽지를 돌며 과학과 발명을 사랑하는 학생들에게 수업을 하고,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EBS에서 근무하는 동안에는 더욱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 리틀 뉴턴 과학발명동아리도 온라인이나 메타버스 활동으로 만날 ... ...
- [디지털 바른생활] 영화처럼 온라인 미디어에도 연령 제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심심한데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할까 했더니 보호자한테 허락을 받아야 설치할 수 있다는 거야...! 괜히 한소리 듣기 싫어서 유튜브를 보려고 했는데, 이번엔 연령 제한 ...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정신과 원장이 되어 환자를 치료해봄 HELP ME!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봄학기 중간고사 기간. 해가 중천에 떴다. 벚꽃이 휘날리는 창 밖 거리는 수업을 마치고 점심을 먹으러 가는 학생들의 소란으로 분주하지만, 나는 아직도 기숙사 침대에 누워있다. 밥맛도 없고, 친구들도 보고 싶지 않다. 그래도 시험 공부를 해야할 것 같아 씻지도 않고 도서관에 갔더니, 오랜만에 ... ...
- [수학체험 유랑단] 종이한 장 들고 떠나는 다면체 수업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전국수학문화연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수업 UP ! 정사면체 전개도로 델타다면체도 만들어보자!지금까지 정사면체 전개도를 이용해서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만들어 봤어요. 그렇다면 정사면체 전개도로 또 어떤 다면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바로 모든 ... ...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밥 먹을 시간도 아까울 만큼 주말도 없이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3학기가 돼서야 4학년 수업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되더라고요. Q. 미국에서 맛본 수리생물학은 어땠나요?너무 새로웠어요. 미국에서 수리생물학이 주목받는 분야이다 보니, 흥미로운 수리생물학회들이 많이 열렸거든요. 대학원 ...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구현해서 프로그래밍 언어로 풀어내는 과정이잖아요. 그래서 몇몇 컴퓨터 공학과 수업을 더 들었어요.그러다 보니 기회가 생겨 개발 업무로 인턴도 하고 금융 스타트업인 ‘8퍼센트’에서 제의를 받아서 개발자로 일했어요. Q ─ 지금은 많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여성 개발자가 흔하지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극심한 외로움과 우울감을 느꼈습니다. 학교에는 고원으로 가는 작은 길이 있었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해질녘이 되면 러셀은 혼자서 그 길을 올라가고는 언덕에 앉아 저무는 해를 보며 극단적인 선택마저 고민했습니다. 하지만 러셀은 그런 선택은 하지 않았어요. 러셀은 수학을 더 알고 싶었기 ... ...
- [Research] 모든 한옥 지붕이 사이클로이드는 아니에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Q. 어떤 계기로 이번 연구를 하게 됐나요?양우림 대전동신과학고에서는 학생이 수업 외 시간에 스스로 연구하는 R&E를 하나 이상 하고 있어요. 수학 선생님께서 제게 먼저 R&E를 통해 한옥 지붕이 정말 사이클로이드인지 알아보자고 제안하셨어요. 그래서 이 주제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모아서 2022년 ... ...
- [퍼즐 마법학교] 옴니스 거리 나눔 장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7아우룸, 예뻐서 샀는데 색이 안 어울려서 한 번 입고 말았던 망토는 15아우룸, 1학년 수업에서 썼던 교재는 9아우룸, 마법의 역사를 다룬 아주 두꺼운 책은 20아우룸, 지난 호 어린이 잡지는 3아우룸으로 매겼어. 물건들을 유심히 들여다보며 잠깐 추억에 잠겼는데 솔이가 말을 건넸어. “책은 2권 ... ...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게 됐어요.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움이 됐습니다. 2학기부터 모든 수업이 온라인으로 대체됐거든요. 덕분에 두 아들을 키우면서도 학위과정을 이어나갈 수 있었어요.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만 열리던 창작 교실이 온라인 콘텐츠화 돼, 제가 수강할 수 있었던 것도 큰 도움이었어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